ADVERTISEMENT

[단독] 北목선 노크귀순 당일, 군수뇌 지하벙커 대책회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북한 소형 목선이 삼척항에 들어왔던 15일 오전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박한기 합참의장 등이 참석한 대책회의가 합동참모본부 지하벙커에서 열렸다고 복수의 군 소식통이 23일 전했다. 당시 회의에서 북한 목선이 삼척항에 접안했고, 현지 주민이 신고했다는 해경 상황보고서 내용이 공유됐다고 다른 소식통이 전했다.

이틀 후 군 당국선 엉터리 발표

소식통들에 따르면 15일 오전 합참 지하 지휘통제실 내 회의실에서 회의가 소집됐다. 회의엔 정 장관과 박 합참의장을 비롯해 국방부의 담당 실장과 합참의 주요 본부장들이 참석했다. 앞서 해양경찰이 삼척항 방파제 부두에서 북한 소형 목선과 선원 4명을 발견했다는 상황보고서를 청와대·합참·국정원에 전파한 뒤 국방부·합참의 당국자들에게 회의에 나오라는 연락이 갔다.

자유한국당 김정재 의원이 해경으로부터 입수한 상황보고서에 따르면 해경은 북한 목선이 삼척항에 자력으로 들어왔고, 첫 신고자는 방파제를 산책하던 주민이라는 사실을 관계 기관에 알렸다.

또 다른 정부 소식통은 “북한 소형 목선의 삼척항 입항 사건이 엄중하다는 데 모두가 공감했다”며 “이 때문에 합동신문이 끝날 때까지 언론이 관련 사항을 문의할 경우 ‘현재 조사 중이다.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려 달라’는 취지로 답변한다는 방침이 결정됐다”고 말했다.

국방장관·합참의장, 청와대와 사전 조율했나 주목

회의에선 또 동해 북방한계선(NLL)과 동해안 경계를 담당하는 군 당국의 대비 태세가 허술하다는 비판이 나올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에 따라 합참의 전비태세검열실이 현장으로 내려가 해상·해안 경계태세를 점검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실제로 전비태세검열실은 당일 오후 강원도로 출발했다.

15일 오전 대책회의가 열렸다는 점은 정 장관과 박 합참의장 등 군 지휘부를 포함해 국방부와 합참이 당일부터 북한 소형 선박의 삼척항 입항 상황을 잘 알고 있었다는 의미다. 그런데도 국방부와 합참은 이틀 후인 17일 백그라운드(익명) 브리핑에서 “확인이 안 됐다”는 이유로 사실과 다른 내용을 설명했다. 군 관계자는 백 브리핑에서 북한 소형 목선의 발견 장소에 대해 삼척항 방파제 부두가 아닌 ‘삼척항 인근’이라고 밝혔다. 또 북한 소형 목선이 실제 엔진을 가동해 항구로 진입했는데도 “표류해서 발견하기 힘들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국방부와 합참이 축소·은폐 브리핑을 통해 경계태세 미비와 군 기강 해이를 감추려 했다는 논란이 더욱 불거지게 됐다.

17일 백 브리핑에서 군은 군 당국의 경계 책임 문제에 대해 “특별한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17일 백 브리핑 내용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국방부와 합참이 청와대와 조율했는지 여부를 놓고도 관심이 증폭될 전망이다.

이철재·이근평 기자 seaja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