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에서도 기억하는 5ㆍ18 39주년…"한국 민주화 이정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8일 오전 서울광장에서 열린 제39주년 5·18민주화운동 서울 기념식. 권유진 기자

18일 오전 서울광장에서 열린 제39주년 5·18민주화운동 서울 기념식. 권유진 기자

5ㆍ18민주화운동 39주년을 맞아 서울 광장에 ‘임을 위한 행진곡’이 울려 퍼졌다. 광장에 모인 사람들은 주먹을 쥔 손을 힘껏 뻗으며 ‘80년 광주’를 추모하는 민중가요를 함께 불렀다. 이어 만세 삼창을 하며 “대한민국 민주주의 만세”라고 목청껏 외쳤다.

18일 오전 10시 서울 시청 앞 광장에서 5ㆍ18민주화운동서울기념사업회 주최로 5ㆍ18민주화운동 기념행사가 열렸다. 행사에는 5ㆍ18 민주화운동 유공자, 일반 시민, 학생 등 80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장 무대 옆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이낙연 국무총리, 박원순 서울시장이 보낸 화환도 놓여 있었다. 김원이 서울시 정무부시장은 기념사에서 “5ㆍ18은 한국 민주화 운동 역사의 살아있는 이정표”라며 “진실은 드러나게 돼 있다. 5ㆍ18은 계획된 시나리오였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고, 전두환의 광주 방문과 발포 명령에 대한 증언이 새롭게 제기됐다”고 말했다. 최병진 5ㆍ18서울기념사업회 회장은 “5ㆍ18 민중항쟁 역사 왜곡은 끊임없이 자행되고 있다”며 “국회에서 지만원과 김진태ㆍ이종명ㆍ김순례 의원은 ‘5ㆍ18은 북한특수군 600명이 일으킨 폭동’이라며 망언을 쏟아냈다”고 비판했다. 이어 5ㆍ18 역사왜곡처벌법 제정, 김진태ㆍ이종명ㆍ김순례 의원 제명을 함께 요구했다.

같은 시각 광주 국립 5ㆍ18 민주묘지에서는 정부 기념식이 열렸다. 5ㆍ18민주화운동은 지난 1997년 국가기념일로 제정됐다.

‘5ㆍ18의 상징’ 주먹밥 함께 나눠

행사가 끝나자 참석자들의 손에는 은박지에 쌓인 동그란 주먹밥이 한 덩어리씩 쥐어졌다. 39년전 광주에서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주먹밥을 만들어 시민군들에게 나눠줬던 것을 상징적으로 기억하고자 주최 측이 준비한 것이다. 주먹밥을 먹던 윤현숙(63)씨는 “고향인 광주까지는 못 가도 서울에서 하는 행사만큼은 참석하려고 왔다”며 “그 때도 어머니들이 이런 주먹밥을 만들어 광주리에 이고 사람들에게 나눠줬다. 그 기억이 아직도 생생한 사람들이 많은데, 왜곡과 폄훼는 멈춰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중ㆍ고등학생 600명 참가한 5ㆍ18 골든벨

18일 오전 서울광장에서 열린 '5.18 골든벨'에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다. [연합뉴스]

18일 오전 서울광장에서 열린 '5.18 골든벨'에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전 11시부터는 중ㆍ고등학생 600명이 참가한 ‘5ㆍ18 골든벨’ 대회도 열렸다. 2인 1조로 대회를 준비하던 학생들은 준비해온 자료를 보며 5ㆍ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사실에 관해 얘기를 나눴다. 대회가 시작되고 ‘5ㆍ18민주화운동의 사적지가 아닌 곳은?’, ‘5ㆍ18과 관련된 노래가 아닌 것은?’ 등의 문제가 출제되자 문제를 맞힌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 간의 희비가 엇갈렸다. 친구들과 함께 참가했다는 이은수(18ㆍ서울 계성고 3) 양은 “지난해 담임선생님이 역사 담당이어서 특별히 역사에 관심이 생겼다”며 “특히 5ㆍ18민주화운동의 경우 어릴 때 봤던 영화 화려한 휴가나 최근 본 택시운전사 등을 통해 더 관심을 가지게 됐다”고 말했다. 학생들을 인솔해온 진성민(31·경기 이천사동중학교 교사)씨는 “수업시간만으로는 부족해서 현대사 관련 탐방의 일환으로 참석했다”며 “학생들이 민주주의에 대해 배우는 계기가 될 거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5·18민주화운동 39주년을 기념해 서울광장에 전시된 5·18민주화운동 사진 [연합뉴스]

5·18민주화운동 39주년을 기념해 서울광장에 전시된 5·18민주화운동 사진 [연합뉴스]

서울 광장 한편에는 5ㆍ18 민주화 운동 사진과 영상자료 등을 담은 전시물도 설치돼있다. 당시를 배경으로 한 영화인 ‘택시운전사’와 다큐멘터리 ‘반성’도 상영될 예정이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