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기저효과로 3월 생산·소비·투자 ↑…순환변동치, 역대 최장 동반 하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달 산업생산과 소비ㆍ투자가 동시에 증가하며 ‘트리플 상승’을 나타냈다. 2월에는 ‘트리플 감소’로 부진했던 '기저효과'가 작용했다. 그러나 올해 1분기 전체로는 산업생산이 2008년 이후 최대로 줄어드는 등 부진을 이어갔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3월 전(全) 산업생산지수(계절조정계열)는 전달보다 1.1% 상승했다. D램과 낸드 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수출이 3.6% 늘어난 영향으로 광공업 생산이 1.4% 증가했다. 보건ㆍ사회복지, 금융ㆍ보험 등 서비스업생산도 0.2% 늘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은 전달보다 3.3% 증가했다. 미세먼지 탓에 공기청정기와 의류건조기 등 내구재의 판매가 7.7% 늘었고, 외국인 관광객의 증가로 화장품 같은 비내구재도 2.4%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10% 증가하며 24개월 만에 최대 가장 크게 증가했다. 항공기 등 운송장비(26.2%) 같은 규모가 큰 일회성 투자가 늘어난 덕을 봤다. 건설업체가 실제로 시공한 실적을 금액으로 보여주는 건설기성도 전월보다 8.9% 증가했다. 2011년 11월(11.9%) 이후 8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정부가 대규모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에 착수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통계청은 밝혔다.

이는 산업활동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3대 지표가 동반 개선된 것이다. 앞선 2월 하락 폭이 워낙 컸던 데 대한 기저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2월에는 산업생산이 전월보다 1.9% 줄면서 5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한 바 있다. 2월 설비투자도 전월보다 10.4% 감소하며 5년 3개월 만에 최대 폭의 감소를 기록했고, 소매판매액도 전달보다 0.5% 감소했다.

김보경 통계청 산업동향 과장은 “2월에 지표가 워낙 안 좋았던 기저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전반적으로 경기 둔화가 이어지고 있어 동행ㆍ선행지수 하락세를 보면 경기가 바닥을 쳤다고 판단하기에는 아직 일러 보인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월별지표는 특성상 변동폭이 클기 때문에 분기별로 보는 게 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1분기 전체로는 생산ㆍ투자가 감소했다. 산업생산은 전 분기보다 0.8%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감소세이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같은 기간 설비투자도 5.4% 줄었다. 소비는 같은 기간 1.3% 증가하며 홀로 분전했다. 이런 1분기 산업동향의 부진은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지난 10년만에 가장 낮은 -0.3%으로 떨어진 배경이기도 하다.

현재ㆍ향후 경기를 보여주는 종합지표는 역대 최장기 하락세를 이어갔다. 지표가 일시적으로 반등했지만 전반적인 경기 부진이 계속되고 있다는 의미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인 동행지수 순환변동치(98.5)는 전달보다 0.1포인트 하락해 12개월째 내림세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98.2)도 0.1포인트 하락했다. 10개월 연속 내림세다.

두 지표가 10개월 연속 동반 하락한 것은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처음이다. 동행지수는 금융위기 때인 지난 2009년 6월 이후, 선행지수는 같은 해 3월 이후 최저치까지 떨어졌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29일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최근 경제상황과 관련해 "우리 경제의 기초체력은 튼튼하다. 물가상승률, 실업률, 외환보유액 등 국가경제의 거시지표들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며 “경제성장률도 1분기의 부진을 극복하고 2분기부터는 점차 회복돼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손해용 기자 sohn.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