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사교육비] 월평균 29만원 역대 최고, 3년 연속 급등

중앙일보

입력

학원이 밀집한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학원가에 광고 입간판이 늘어서있다. [중앙포토]

학원이 밀집한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학원가에 광고 입간판이 늘어서있다. [중앙포토]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29만1000원으로 조사됐다. 지난 2007년 조사가 시작된 이후 최고치다. 지난 2015년까지는 적은 폭으로 등락을 반복해왔는데 최근 3년 새 증가 폭이 눈에 띄게 커졌다. 특히 고교 사교육비 증가세가 두드러져 대입 사교육 부담을 줄이기 위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통계청은 12일 2018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은 19조 5000억원으로 2017년 18조 7000억원에 비해 8000억원(4.4%) 증가했다. 학생 수가 573만명에서 558만명으로 2.5% 줄었는데도 사교육비 규모가 커진 것이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9만1000원으로 전년도(27만2000원)보다 1만9000원 늘었다. 이는 역대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월평균 사교육비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는 매년 4000원 이하 수준으로 오르거나 내리며 정체되고 있었다. 그러나 2016년부터 증가세가 시작돼 3년 연속으로 1만원 넘게 늘고 있다.

 단 29만1000원이라는 수치는 사교육을 받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생까지 포함한 평균치다. 사교육을 받는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면 39만9000원으로 높아진다.

'수능-학종-내신' 고교 사교육비 증가 폭 최대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학교별로 보면 초·중·고교 모두 사교육비가 증가하는 추세지만 특히 고등학교가 심각하다. 2015년 이전까지만 해도 고교 사교육비는 중학교나 초등학교보다 대체로 낮았다. 그런데 2015년 23만6000원이었던 고교생 월평균 사교육비가 2018년 32만1000원으로 늘었다. 불과 3년 새 8만5000원이나 증가한 것이다.

 이는 최근 대학 입시가 학생부종합전형(학종), 내신,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등 어느 하나도 포기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란 지적이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의 한 진학담당 교사는 "중상위권 이상 학생들은 내신 대비를 위한 학원, 수능 고난도 문제를 맞히기 위한 단과 학원 등을 별도로 다닌다. 내신과 수능 '둘 다 올인'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난해까지 교육부는 사교육비 증가세를 "예체능과 취미 사교육비 증가 탓"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올해는 그런 설명도 불가능하다. 예체능·취미 사교육비가 전년도보다 4000원 증가한 반면, 국·영·수 등 교과 사교육비가 1만5000원 늘었기 때문이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사교육을 받는 학생 비율(사교육 참여율)은 2009년 75% 이후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추세였지만 2016년 67.8%로 저점을 찍은 뒤 다시 높아져 72.8%를 기록했다. '수능-EBS 연계' 정책을 지난 2010년 도입한 이후 사교육 참여율이 지속해서 떨어졌는데 최근 반등한 것이다.

 학원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사교육비 증가 폭이 커지면서 '사교육 양극화'는 심해지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41만1000원으로 가장 낮은 충남(18만7000원)과 큰 차이를 보였다. 서울·경기·대구는 평균 사교육비가 30만원 이상이지만 충남·전남 등은 20만원 이하였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조사 결과를 받아 든 교육부는 난감해하는 분위기다. 한상신 교육부 대변인은 "사교육비가 오르고 있어 교육부로서는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리지 않을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공교육 정상화가 결국 근본 대책인 것 같다. 국민이 교육 정책에 대한 불신감이 높은데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조사는 초·중·고교 학부모 4만여 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5~6월, 9~10월에 시행됐다. 사교육비에는 과외·학원·학습지·인터넷 등 통신 강좌비가 포함됐으며, 방과후학교 비용이나 EBS 교재 구매 비용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남윤서 기자 nam.yoonseo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