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방탄소년단 아버지 “남이 만들어 놓은 꿈을 거부하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방시혁 대표가 26일 서울대에서 열린 제73회 학위수여식에서 축사를하고 있다. 방 대표는 이날 ’(내가 가진) 불만이 분노로 변하고 지금의 저와 방탄소년단을 만든 원동력이 됐다“고 말했다. [뉴스1]

방시혁 대표가 26일 서울대에서 열린 제73회 학위수여식에서 축사를하고 있다. 방 대표는 이날 ’(내가 가진) 불만이 분노로 변하고 지금의 저와 방탄소년단을 만든 원동력이 됐다“고 말했다. [뉴스1]

“나는 불만이 많은 사람입니다. 그 불만이 분노로 변하고 지금의 저와 방탄소년단을 만든 원동력이 됐습니다.”

방시혁, 모교 서울대 졸업식 축사 #“부조리에 분노하고 맞서 싸우길” #오세정 총장도 “원하는 일 찾아야 #서울대 출신 이기적이란 말 속상”

방시혁(47) 빅히트엔터테인먼트 대표는 26일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열린 제73회 서울대 학위수여식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오후 진행된 졸업식의 최대 화두는 ‘방탄소년단의 아버지’로 불리는 방 대표의 축사였다. 단정한 회색 재킷을 입고 나타난 방 대표가 오세정 신임 서울대 총장 등과 함께 단상에 오르자 그를 촬영하기 위한 학생들의 스마트폰 수십 대가 머리 위로 올라왔다. 줄곧 조용하던 졸업식장은 방 대표의 “안녕하세요, 방시혁입니다”라는 소개와 함께 약간의 환호와 박수가 나오며 적막이 깨졌다.

서울대 미학과를 1997년에 졸업한 방 대표는 축사에서 “나는 꿈은 없지만 오늘의 나를 만든 에너지의 근원이 뭔지 곰곰이 생각해 보니 불만과 분노였다”고 말했다. 그는 “최고가 아닌 차선을 택하는 무사안일에 분노했고, 적당한 선에서 끝내려는 타협에 화가 났다. 최고의 콘텐트를 만들어야 한다는 소명으로 타협 없이 하루하루 마지막인 것처럼 달려 왔다”고 회고했다. 이어 “그렇게 달려오는 동안에도 분노할 일들은 참 많았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처한 상황은 상식적이지 않았고, 그것들에 분노하고 불행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래서 나는 늘 분노하게 됐고, 이런 문제들과 싸워 왔으며, 이는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라며 “이제는 그 분노가 나의 소명이 됐다고 느낀다”고 덧붙였다.

방탄소년단. [뉴시스]

방탄소년단. [뉴시스]

방 대표는 “내가 야심을 품고 차곡차곡 이뤄낸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아니다”며 “내가 어떻게 음악을 직업으로 삼고 JYP엔터테인먼트를 나와 빅히트를 설립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꿈을 꿔서 이뤄낸 것이 아니다. 세상에 대한 불만과 분노로 변화를 이끌었고, 행복으로 돌아왔다”며 ‘불만과 분노’를 또다시 강조했다. 이어 “스스로 무엇이 행복한지 생각해 보길 바란다”며 “남이 만들어 놓은 목표와 꿈을 무작정 따른다면 결국 좌절하고 불행해질 것”이라고 조언했다. 또 “사회에 나와 어떤 길을 선택하건 무수한 부조리와 몰상식이 존재할 텐데, 여러분도 저처럼 분노하고 맞서 싸우기를 당부한다”며 “그래야 문제가 해결되고 변화한다”고 말했다.

방 대표의 축사에 대한 졸업생들의 반응은 호의적이었다. 졸업생 정현수(22·기악과)씨는 “축사가 딱딱한 내용이 아니라 더욱 기억에 남을 것 같다”며 “방 대표가 온 것 자체가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박경찬(23·원자핵공학과)씨도 “방 대표의 이야기도 재밌게 들을 수 있었고, 특히 발언 중에 20대 젊은 세대와 교류하려는 표현들이 많고 소통을 위해 노력한 것 같아 신선했다”며 “전에 가 본 다른 학교 졸업식 축사자들과 다른 분야라서 학생들이 더 호평하고 공감하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방 대표가 축사를 진행하는 동안 1층 행사장은 졸업생들을 위해 설치된 1150개의 좌석이 모두 차 일부 졸업생들은 행사장 뒤편에 서서 꽃을 든 채 방 대표의 축사를 듣기도 했다. 체육관 2층 학부모 및 가족석 3200여 개 또한 사람들로 가득 찼다.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는 학사 2439명, 석사 1750명, 박사 730명 등 총 4919명이 학위를 받았다. 오 총장은 학위수여식사에서 “서울대 출신은 이기적이란 말이 가장 속상하다”며 “주변을 둘러보고 공동체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즉 여러분의 성공이 직장, 모임 그리고 나라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고민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시류에 휩쓸리지 말고 자신이 바라는 일, 원하는 일을 찾아 집중하기 바란다”며 “헌신과 혁신을 통해 공동체를 위해, 사회적 약자를 위해, 나라를 위해 각자 기여해 달라”고 강조했다.

김다영·임성빈 기자 kim.d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