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새벽 강원영동과 남부내륙에 최고 8㎝ 눈 쌓일 듯

중앙일보

입력

대설특보가 내려진 지난달 28일 제주시 아라동 제주대학교 앞 사거리에서 운전자들이 월동장구를 장착하고 있다. 1월 마지막 날인 31일 제주도 산지를 비롯해 강원 영동과 일부 남부 내륙에는 많은 눈이 내리겠다고 기상청이 예보했다. [뉴스1]

대설특보가 내려진 지난달 28일 제주시 아라동 제주대학교 앞 사거리에서 운전자들이 월동장구를 장착하고 있다. 1월 마지막 날인 31일 제주도 산지를 비롯해 강원 영동과 일부 남부 내륙에는 많은 눈이 내리겠다고 기상청이 예보했다. [뉴스1]

1월의 마지막 날인 31일 새벽부터 강원 영동과 일부 남부 내륙 등지에 최고 8㎝의 많은 눈이 내리겠다.
이들 지역에서는 아침 출근길 큰 불편도 예상된다.

기상청은 "30일은 남서쪽에서 다가오는 기압골의 영향을 차차 받아 밤에 제주도와 전남 해안에는 비가 오는 곳이 있겠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또 "31일은 제주도 남쪽 해상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을 받다가 차차 벗어나고, 중국 북부지방에서 남하하는 고기압의 영향을 받겠다"고 예보했다.

이에 따라 31일은 전국이 흐리고 남부지방과 충북 남부, 제주도는 새벽부터, 강원 영동은 오전부터 비 또는 눈이 오겠다.
눈과 비는 오후에 호남 지역을 시작으로 밤에는 대부분 지역에서 그치겠다.

충북 남부를 제외한 그 밖의 충청 지역에는 새벽부터 오전 사이에 산발적으로 눈이 날리는 곳이 있겠고, 제주도에는 오후 늦게까지 산발적으로 빗방울이 떨어지는 곳이 있겠다.

31일 하루 지역별 예상 적설은 ▶제주도 산지가 5~15㎝ ▶강원 영동, 호남 동부 내륙, 경남 서부 내륙, 경북(북부 내륙 제외), 울릉도·독도 3~8㎝ ▶호남(동부 내륙 제외), 경남(서부 내륙과 남해안 제외), 경북 북부 내륙, 제주도(산지 제외) 1~5㎝ 등이다.
또, 충북 남부와 강원 영서 남부, 경남 남해안에도 1㎝ 안팎의 눈이 쌓이는 곳이 있겠다.

26일 오전 강원 강릉시 한 주택가의 활짝 핀 매화 위에 전날 내린 눈이 내려앉아 좀처럼 보기 어려운 설중매를 연출하고 있다. [연합뉴스]

26일 오전 강원 강릉시 한 주택가의 활짝 핀 매화 위에 전날 내린 눈이 내려앉아 좀처럼 보기 어려운 설중매를 연출하고 있다. [연합뉴스]

기상청 관계자는 "31일 새벽부터 오후 사이(오전 6시~오후 6시)에 강원 영동과 경북 동해안, 남부 내륙에는 다소 많은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다"며 "비닐하우스 등 시설물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내린 눈이 쌓이거나 얼면서 도로가 미끄러운 곳이 많겠고 특히 일부 남부내륙에는 출근 시간대에 다소 강한 강도의 눈이 내리는 곳도 있을 것"이라며 "보행자 안전과 교통안전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음 달 1일은 중국 중부지방에서 동진하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이 대체로 맑겠으나, 충남과 호남, 제주도는 가끔 구름 많고, 제주도 산지는 오전에 눈이 오는 곳이 있을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한편, 31일 아침 기온은 평년보다 2~7도 높겠으나 오후부터는 찬 공기가 유입되면서 기온이 오르지 못해 평년보다 1~5도 낮겠다.
다음 달 1일 아침은 31일 아침보다 10도 안팎의 큰 폭으로 기온이 떨어져 중부내륙을 중심으로 한파 특보가 발표될 가능성도 있다.

강찬수 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