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의료·수소에너지 등 미래 유망분야 R&D 예산 확 키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일 총 4조 3149억원 규모의 '2019년도 과학기술ㆍICT 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ㆍ발표했다. 한 해 동안 과학기술 분야에 3조 3996억원, 정보통신(ICT) 분야에 9153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전망이다. 이번 종합시행계획은 최근 문재인 정부의 과학기술ㆍICT 정책의 근간이 됐던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 등의 연장선에 있는 만큼, ▶연구자 중심의 R&D 지원 강화 ▶건강한 연구문화 조성을 통한 신뢰도 제고 등 기존에 강조됐던 내용도 상당수 포함됐다.

그러나 눈에 띄는 점도 있다. 바이오 헬스 분야, 나노ㆍ소재 분야를 비롯해 미래 유망 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는 점이 그렇다.

정밀 의료에서는 개인 혹은 암의 유전 정보를 적극 활용한다. 특정 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겼는지, 얼마나 발현됐는지 등을 살핀다. 예를 들면 ‘온코타입 (Oncotye DX)’ 검사는 유방암 관련 유전자들이 얼마나 활성화됐는지 ‘RT-PCR’ 검사법으로 발현량을 측정해 암 재발 위험을 예측한다. [중앙일보]

정밀 의료에서는 개인 혹은 암의 유전 정보를 적극 활용한다. 특정 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겼는지, 얼마나 발현됐는지 등을 살핀다. 예를 들면 ‘온코타입 (Oncotye DX)’ 검사는 유방암 관련 유전자들이 얼마나 활성화됐는지 ‘RT-PCR’ 검사법으로 발현량을 측정해 암 재발 위험을 예측한다. [중앙일보]

정부는 바이오 분야 예산을 지난해 3745억원에서 올해 3952억원으로 5.5% 증액했다. 또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 발굴 사업에 80억원을 투자하고, 오믹스 기반 정밀의료 기술 개발 사업과 인공지능 신약 개발 플랫폼 구축 사업에 각각 60억원과 50억원을 신규로 배정했다. 오믹스(OMICS)는 유전체ㆍ전사체 등 생물학적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으로, 이른바 환자 맞춤형 신약 개발 등 정밀의료 기술 개발을 위한 빅데이터 축적 등에 사용된다. 정부가 정밀의료 기술을 육성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나노ㆍ소재 분야 예산은 지난해 대비 3.2% 늘어난 1106억원이 편성됐다. 특히 기존 기술이 갖고 있었던 한계를 돌파하고, 새로운 원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 나가는 데 초점을 두기로 했다. 이에 따라 나노ㆍ소재기술개발사업에는 지난해 대비 0.4% 늘어난 494억원이, 미래 소재를 발굴하는 미래소재 디스커버리 지원사업은 9.3% 증가한 318억원이 편성됐다.

친환경 에너지를 개발하고 미래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등 친환경 분야 예산도 크게 늘었다. 2018년도 예산안에는 없었던 수소 에너지 혁신 기술을 개발하고, 연료전지를 비롯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데 각각 102억원과 108억원이 신규로 편성됐다. 기후변화 분야 예산은 20%나 증가한 1411억원이 편성됐다. 기후 산업으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 분야인 기후변화 대응 기술 개발에도 906억원이 투입된다.

탈 원전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됐다. 원자력안전ㆍ해체 연구 및 인력양성에 총 557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지난해 7월 정부가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추진위원회를 통해 2021년까지 노후 원전 해체ㆍ방사성폐기물 관리 등 탈 원전 전문인력 800명을 양성하는 등 탈 원전 기조를 공식화한 만큼, 이번 예산 편성은 그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번 종합시행계획은 과기정통부 전체 R&D 예산 7조 1998억원 중 국가과학기술연구회ㆍ직할 출연연구기관 연구운영비 등을 제외한 4조3149억원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이번 종합시행계획은 연구자 중심 R&D, 일자리 창출 등 문재인 정부의 국정철학을 뒷받침 한다”며 “한국의 과학발전과 국민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허정원 기자 heo.jeongw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