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총재 “한국 경제 3∼4년 뒤 걱정돼 성장동력 찾아야”

중앙일보

입력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송년 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송년 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한국 경제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18일 출입기자단 송년 만찬에서다.

“최저임금 인상 영향 적지 않을 듯” #“자기 이익 앞세우면 이익 못 지켜”

 이 총재는 “지난해 이후 반도체 호황이 우리 경제를 이끌어 왔지만 앞으로 3~4년 후 또는 5년 후를 내다보면 내다보면 걱정이 앞서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반도체가 성장세를 지탱하고 있지만 이것도 얼마만큼 지속할지 자신할 수 없다”며 “반도체 경기가 급락하고 일부 어려움을 겪는 업종에서 치고 나가지 못한다면 우리 경제가 어떻게 될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새로운 성장 동력 모색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사회 구성원의 대승적인 협력도 강조했다. 그는 “새로운 선도산업의 육성 필요성에 대해서는 다 같이 공감하면서도 이를 위한 규제 완화와 투자 확대는 당사자들의 이해 상충, 기존 사고방식과 관행 등에 가로막혀 그 성과가 미진한 실정”이라며 “각 경제 주체들은 자신의 이익만을 앞세운다면 장기적으로 그 이익도 지켜낼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카카오택시라든가, 카풀제라든가 특정 부문을 들어가 보면 나름대로 애로가 있을 것이고 정부가 여러 가지 결정할 때 정말 쉽지 않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라며 “비단 특정 부문, 우리나라만 그런 것은 아니고 프랑스 같은 선진국에서조차도 나라 전체 경제를 위한 합리적인 결정을 내린다고 하더라도 국민에게 수용되기는 어렵지만 한 걸음씩 차근차근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고령화에 대한 위기감도 드러냈다. 이 총재는 “자료를 보면 볼수록 저출산, 고령화 속도가 두려울 정도로 빠르다”며 “세계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는 산업을 빨리 키워야 장기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내년 10.9% 인상되는 최저임금과 관련해서는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지만 정부가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고 내년에는 기업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 계획인 만큼 최저임금 인상의 부정적 효과를 정부의 강력한 정책 의지로 완화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다”고 덧붙였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