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체코 총리 만난 文대통령 “한국, 40년간 원전 무사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체코를 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프라하 힐튼호텔에서 안드레이 바비시 체코총리와 회담하고 한국형 원전 수출 등 양국간 경제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강정현기자

체코를 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프라하 힐튼호텔에서 안드레이 바비시 체코총리와 회담하고 한국형 원전 수출 등 양국간 경제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강정현기자

한국과 체코 양국이 체코의 원전건설 사업과 관련해 향후 긴밀히 협의하기로 했다.

체코를 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오후 프라하 시내 힐튼호텔에서 안드레이 바비시 총리와 회담을 갖고 한-체코 관계 발전 방안과 한반도 정세 등에 관해 협의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문 대통령은 이스라엘 국빈 방문을 위해 자리를 비운 제만 체코 대통령을 대신해 바비시 총리와 회담을 가졌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오후 프라하시내 한 호텔의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양 정상은 체코의 원전 건설 사업과 관련, 향후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현재 24기 원전을 운영 중에 있고, 지난 40년간 원전을 운영하면서 단 한 건의 사고도 없었다"고 강조하며 체코 정부가 향후 원전건설을 추진하기로 결정할 경우 우수한 기술력과 운영과 관리 경험을 보유한 우리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줄 것을 당부했다.

이에 대해 바비시 총리는 "예정보다 지연되고 있는 다른 나라의 원전건설 사례들을 잘 알고 있고, 우리도 준비가 아직 마무리되지 못했다"라며 "UAE 바라카 원전사업의 성공 사례를 잘 알고 있으며, 한국은 원전 안전성에 관한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며 추후 긴밀히 협의해 나가자고 말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EU 철강세이프가드와 관련, 한국이 수출하는 철강 제품으로 현지 공장의 생산증대와 고용창출에 기여하고 있는 만큼 EU 세이프 가드 조치에서 제외해달라고 협조를 요청했다.

이 밖에도 K-9 자주포 수출 등 방산 분야에서 양국의 장점을 살려 완제품 수출, 기술지원 및 공동생산 등 다양한 협력 추진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양 정상은 1990년 수교 이래 양국관계가 제반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해 온 것을 평가하고 2015년 수립된 한-체코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내실화를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호혜적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정보통신(ICT),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신산업 분야에서의 협력을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 등 미래지향적 협력을 강화해 나가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

문 대통령은 최근 한반도 정세의 진전 동향과 완전한 비핵화와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체코 측의 변함없는 관심과 지지를 당부했다.

특히 올해 체코 독립 100주년과 내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함께 언급하며 양국의 교류를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올해는 프라하의 봄 50주년 이기도 한데, 자유·민주를 향한 체코 국민의 뜨거운 열망과 불굴의 의지를 전 세계에 보여줬다"면서 "나는 그때 고등학생이었는데 전 세계가 체코 국민을 응원하고 그 좌절에 안타까워했던 기억이 지금도 남아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도 여러 차례 시민항쟁을 통해 좌절을 겪어가면서 민주주의를 발전시켰다. 내년이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된다. 이런 모든 점에서 양국은 참으로 공통점이 많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바비시 총리는 문 대통령의 인권변호사 경력을 언급하며 "문 대통령은 인권·민주화를 위해서 노력하신 분으로 경력을 높이 평가한다"고 답했다. 이어 "문 대통령이 긴장 완화 등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신 것도 높이 평가한다"며 "북한과 상호 상주공관을 운영 중인 체코로서도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구축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체코에서 이뤄진 한국 기업의 투자 사업, 관광 등 한국과 경제 분야에서 아주 활발한 성장을 이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체코 사람들이 한국 문화를 좀 더 정확하고 깊이 알 수 있도록 한국문화원 개원도 희망한다"고 했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