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부산지역 고독사 63명 분석해보니…장년 남성 86%,질병자 81%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017년 6월 부산 동구 초량동에서 지병 등으로 숨진 뒤 4개월만에 발견된 윤모(61)씨의 약봉지. 송봉근 기자

2017년 6월 부산 동구 초량동에서 지병 등으로 숨진 뒤 4개월만에 발견된 윤모(61)씨의 약봉지. 송봉근 기자

‘가족·이웃·친구 간 왕래가 거의 없이 혼자 사는 50~64세 남성 중 질병이 있으면 고독사를 경계해야…’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박민성(더불어민주당,동래구 1) 의원과 구경민(더불어민주당,기장군 2) 의원이 최근 부산시 행정 사무감사를 위해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해 내린 결론이다.

부산시의회 박민성·구경민 의원 분석 결과 #“혼자 살고 질병·알코올 의존 장년 요주의”

두 시의원에 따르면 2017년 6월부터 2018년 9월까지 부산에서는 총 63명(2017년 40명, 2018년 23명)이 고독사한 것으로 분석됐다. 고독사는 가족·이웃·친구 간 왕래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혼자 살던 사람이 사망한 후 통상 3일 이상 방치됐다가 발견된 경우를 말한다. 2016년 서울시복지재단이 제시한 고독사 기준이다. 사망 이후 시신을 인수할 연고자가 없는 무연고 사망과는 구분된다.

고독사한 63명을 분석한 결과 남성이 86%인 54명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남성은 여성보다 동네 등 지역사회 커뮤니티에 진입하기 어려운 점 등으로 고독사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부산시 무연고 사망자 사례.[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부산시 무연고 사망자 사례.[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고독사 사례를 나이별로 보면 50~64세 사이의 장년이 32명(50%)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65세 이상 노인이 20명(32%), 35~49세 중년이 10명(16%), 18~34세 청년이 1명(2%)이었다. 고독사가 예상과 달리 노인보다 장년에게 많은 것이다.

이들의 생활실태를 보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등이 28명(44%), 비수급자가 35명(56%)이었다. 고독사가 수급자와 비수급자에서 고른 분포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81%인 51명이 만성질환 등 질병이 있었으며, 31명(49%)은 알코올 의존형이었다.

즉 50~64세 장년 가운데 혼자 살면서 질병이 있고 알코올 의존형인 남성이 고독사할 확률이 높다는 뜻이다.

2017년 6월 숨진 지 4개월만에 발견된 윤모(61)씨의 고독사 사례.

2017년 6월 숨진 지 4개월만에 발견된 윤모(61)씨의 고독사 사례.

고독사의 지역별 분포는 사하구가 11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해운대·연제·남구가 각 6명, 북·사상구 각 5명, 동·서구 각 4명 등이었다. 계절별로는 2017년에는 6~7월이 9명씩으로 많은 편이었으나 2016년에는 고른 분포를 보였다.

부산은 고령화율, 베이비 부머(55~63년생) 인구비율, 1인 가구와 노인가구 비율이 높아 고독사에 취약한 인구구조라고 두 의원은 분석했다.

구경민 의원은 “현재 부산시의 고독사 예방대책이 고독사를 예방하기보다는 단순한 문안 서비스 위주로, 3일 내 사망자를 찾아내는 이른바 ‘살아있는지 확인’하는 1차원적 대책에 그친다”며 “이런 사업은 효과가 높지 않을 뿐 아니라 인력난을 겪는 주민센터의 업무 가중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박민성 의원은 “고독사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는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마을공동체 회복이 가장 중요하다”며 “자살예방 사업, 보건의료 증진사업과 연계하는 제도적 기반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는 오는 21일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고독사 없는 부산’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 예정이다.

부산=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