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배층이 만든 편견 일제가 조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오늘날 문제가 되고 있는 지역감정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영-호남간 대립으로 대표되고 있다.
두 지역간 갈등의 기원에 대해 말하자면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수 있다.
신라가 백제와 동맹을 맺어 고구려를 쳤음에도 백제의 옛땅인 한강지역을 차지했고, 심지어 당나라와 연합해 백제를 짓밟고 차별적 통치를 했다는 것이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도 백제유민들의 심한 저항을 받았던 태조는 훈요십조를 통해 「거현이남 공주강밖 (호남)의 산형과 지세가 배역지지」라며 이 지역출신 인재의 등용을 금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조선시대 역시 영남사림들은 권력집단에 속했으나 호남은 유배지로 이용됐다.
그러나 이런 감정이나 편견들은 출세다툼을 하던 양반계급의 갈등일 뿐이며 외부접촉이 많지 않았던 대부분의 피지배층에게는 이런 감정이 없거나 막연히 지배층이 유포한 편견을 일부 듣고있었을 뿐이라는게 일반적 해석이다.
이것은 일본이 식민통치기술상 기정사실화해 지역감정과 편견을 더욱 조장하고 심화시켰다.
특히 공화당 정권의 지연·학연·혈연에 의한 엽관주의는 차관재벌의 영남편중과 인사정책 불균형을 가져왔고, 권력기반인 출신지를 우선 개발하려는 권력자들 때문에 지역경제의 불균형은 심화됐다.
더구나 인사불균형에 따른 호남중산층의 지위상승욕구 좌절등이 가세해 식민지시대에 정형화된 지역감정은 「지역 이데올로기」로 굳어갔다.
이러한 「지역이데올로기」를 「전부 아니면 전무」란 대통령선거에서 정치인들이 정략적으로 조각·선동 또는 이용했다.
특히 80년 대통령 선거준비는 이미 착수돼 후보에 대한 호부호의 감정을 고조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광주민주화운동이 발생했다.
집권을 노린 일부 영남출신 정치군인에 반대해 전국적으로 민주화운동이 일어났으나 특히 반발이 심했던 「광주시민」의 희생이 컸던 것이다.
그러나 광주민주화운동이 갖고 있는 계급성은 지난 대통령선거때 야당분열로 인해 철저히 지역성으로 변색돼 「광주이데올로기」가 돼버린 감이 없지 않아 지역갈등해소의 가장 큰 숙제가 되고 있다.

<김진국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