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학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사업] 취업난 돌파, 사회맞춤형학과서 답 찾아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1면

기고

김영곤 교육부 직업교육정책관

김영곤 교육부 직업교육정책관

요즘 대학가는 취업의 관문을 넘어서기 위한 대학과 학생들의 움직임으로 분주하다. 정부가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최우선 현안 과제로 설정하고 정부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지만, 취업난은 좀체 나아지지 않고 있다. 산업, 교육, 노동시장 문제가 누적적이며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특히, 교육 분야에 국한해서 본다면 이론 위주의 대학교육과 실무능력을 중시하는 산업체 요구의 엇박자를 주된 이유로 지적하는 사람들이 많다.

 최근 잡코리아가 조사한 ‘중소기업(300인 미만) 인력실태 현황’에 따르면 응답한 중소기업의 68.7%가 ‘적시에 직원을 채용하지 못해 인력 부족을 겪고 있다’고 답하였으며 직원 채용 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필요한 능력을 갖춘 지원자가 적다(36.9%)’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즉, 청년들은 취업난을, 중소기업은 구인난을 겪는 모순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취업난과 함께 전문대학을 둘러싼 환경적 변화 요인은 제4차 산업혁명이다. 클라우스 슈밥은 “이미 시작된 4차 산업혁명은 그 규모, 범위, 복잡성을 고려할 때 과거 인류가 겪었던 그 무엇과도 다르다”라고 한다. 급속하고 광범위한 제4차 산업혁명의 변화는 대학교육의 혁신과 변화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 속에서 청년 일자리난과 중소기업 인력난의 동시 해결과 제4차 산업혁명에 적합한 인력양성을 목적으로 교육부가 지난해부터 추진하는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전문대학(LINC+) 육성사업’의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이 주목을 받고 있다. 44개 전문대학교의 310개(참여 학생 7334명, 채용협약인원 5,952명) 협약반이 참여하고 있는데, 학교의 특성과 강점을 살려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새로운 교육과정 운영 모델의 개발뿐만 아니라 그에 맞는 교재 제작, 산업체 현장 교수에게 직접 현장 중심형 교육을 받는 등 전문대학과 산업체 간 맞춤형 교육과정의 공동개발·운영을 통해 채용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사업 2년 차에 접어들었지만, 실제운영 기간 1년이 채 안 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단기간에 사업이 제자리를 잡아가는 형세다. 참여대학의 적극적인 사업 추진 의지가 기대 이상이고, 그것이 곧 사업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학령인구의 감소 등 인구학적 변화에 따른 전문대학의 위기를 사회맞춤형학과 교육 모델을 통해 해결하려는 공감대 형성과 확산은 고무적이다.

 물론 사회맞춤형학과가 지금의 성과를 토대로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 있다. 우선, 제4차 산업혁명 및 사회(산업체 등) 수요를 반영한 산업체 밀착형 융·복합적 교육과정의 설계와 개발을 더욱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학협력 교육공간(실습공간)을 산업체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프로젝트 기반 수업(PBL)을 활성화하는 등 교육과정과 교육공간 활용과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수사례 및 성과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참여대학끼리 성과를 공유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성과가 모든 전문대학으로 확산되는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유난스러웠던 폭염이 지나간 자리에 시원하고 청명한 가을 하늘이 자리 잡았다.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의 시금석으로 마련한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이 답답하게 막혀 있는 취업난 타개의 가장 성공적인 사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가 크다. 우리 젊은이들의 창창한 앞길을 위해 교육부는 제도를 정비하고 재정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