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직기자 명단 이상재씨가 작성지시|언론 청문회 당시 보안사 요원 비공개 증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 문공위는 21일부터 「80년 언론 대학살」의 진상규명을 위한 3일간의 청문회를 시작했다. <관계기사 3면>
이날 첫 증인으로 나신 이용린씨는 『언론대책 반은 이상재씨를 책임자로 산하에 보안사정보과 언론계에서 5명, 대공처 요원 2∼3명, 문공부 직원 1명으로 구성했다』고 말하고 『언론인 해직과 언론 통폐합문제 등 언론에 대한 전반적 조정은 대책 반이 관장, 주도했다』고 말했다.
이씨는 『언론대책 반은 80년 4월 발족했다』고 말하고 『대책 반장 이상재씨는 권정달 정보처장·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에게만 직접 보고했다』고 말했다.
이씨는 『이상재씨가 보안사령관 보좌관 자격으로 언론검열관을 막후 조정했고 대책 반 발족 후에 언론일체를 주도적으로 수행했다』고 말했다.
이씨는 80년8 월초 거의 완벽하게 작성된 언론통폐합 안을 권정달 당시 보안사 정보처장으로부터 받아 검토, 정리해 9월 말 보고했다고 밝혔다.
이씨는 추씨가 준 통폐합 안은 거의 완벽하고 그 뒤 실제 통폐합내용과 골격이 비슷하다고 말하고 자신은 인원조정, 처우·복지개선문제 등의 보완 작업만 했다고 주장했다.
이씨는『80년 7월말 권정달 정보처장이 정보부·치안본부의 협조를 받아 보도검열을 거부하거나 제작을 거부하는 기자 명단을 취합해 보고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말하고 『7월 하순께 보고했는데 90여명 정도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이씨는 실제 해직언론인 7백11명은 어디서 작성한 것인가 라는 질문에 『나로서는 권 처장에게 일단 취합해주었으니 처장이 없는 게 답답하다』고 해직자 명단의 책임을 권정달씨에게 미뤘다
이씨는 『해직기준을 정해 「전한 일이 있느냐』는 질문에 『기억이 없다』고 부인했다.
이씨는 당시 문제기자 선정의 기준과 관련 언론관계포고형 위반이 첫 번째였고 기타 체제도전 이었으며 부정비리 관련자도 일부 끼여있다』고 말했다.
전재오씨(보안사언론담당)는 『7월 초순 이상재씨로부터 문제언론인의 자료를 정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말하고 『그 숫자는 80명 선이었으나 해직조치 후 참고로 정리하라고 만든 자료에는 7백여 명이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현직 보안사 요원인 윤승호·손일근씨는 보안사 측 요청으로 20일 밤 미 공개 청문회를 열어 따로 증언을 청취했다.
두 증인은 비공개증언에서 80년 언론인 해직과 통폐합에 당시 계엄사 언론 검열단 보좌관이었던 이상재씨가 깊이 관여했음을 시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증인은 이씨가 80년 여름 언론인 해직사태에 앞서 당시 각 언론사를 출입한 보안사요원들에게 그해 7월 초순까지 언론사별로 「문제기자」의 명단을 제출 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두 증인은 자신들이 작성한 명단에는 지방주재 기자들을 포함시키지 않았으며 다른 정보기관에서 작성한 명단도 실제 해직에 반영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동아일보를 담당했던 윤씨는 치안본부·중정 등 관계기관의 서류도 넘겨받았으며 그것을 토대로 하여 문제기자 명단을 보고했다고 밝히고 해직된 숫자는 보고 명단보다 늘어났으나 나머지는 지방주재 기사였던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향신문- 문화방송을 담당했던 손씨는 당시 이진규씨가 사장으로 와 직접 해직 관계 일을 맡았기 때문에 명단작성 등 특별히 한 일이 없었다면서 동료들이 「당신은 이 사장 때문에 참 편하게됐다」고 부러워하기도 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두 증인은 또 보안사 언론 대책 반은 보안사 요원 등 8명으로 구성됐다고 말했다.
여야의원들은 이 같은 두 증인의 진술에 따라 지난달 22일 문공위 국정감사에서 『해직언론인 문제에 관여한 바 없다』고 밝힌 이상재씨를 위증죄로 고발할 방침이다.
한편 야당의원들은 이날 비공개회의에서 증언한 두 사람이 대공업무에 종사하고 있다는 이유로 보안사가 신변안전 등을 위해 비공개로 해줄 것을 요구하는 공문서를 문공위원장 앞으로 발송해왔으나 두 사람이 현재 대공업무에 종사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 이 문제도 추후 따지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