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폭염의 악순환…데워진 여름 바다가 한반도 기온 상승 부채질

중앙일보

입력

미국 해양대기청(NOAA) 위성이 분석한 25도 등수온선 변화(2016~2018년, 7월 평균) [기상청 제공]

미국 해양대기청(NOAA) 위성이 분석한 25도 등수온선 변화(2016~2018년, 7월 평균) [기상청 제공]

폭염의 영향으로 여름철 바다 수온이 올라가고, 상승한 수온이 다시 기온을 끌어 올리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기상청은 전국 동·서·남해 17개 해양 기상 부이로 관측한 바닷물 표층 수온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여름철 바다 수온이 2010년부터 올해까지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기상청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반도 전 해역의 7월 평균 수온은 2010년 이후 해마다 0.34도씩 상승했다.
수온을 최초로 관측한 1997년 이후 7월 평균 수온상승경향인 0.14도보다 2.4배가량 높은 수치다.

특히, 수심이 비교적 얕은 서해는 7월 월평균 수온이 1997년 이후 연 0.17도씩 오르다가 2010년부터 0.54도씩 증가해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남해와 동해의 7월 월평균 수온은 2010년부터 각각 연 0.3도와 0.21도씩 증가했다.

이와 함께 미국 해양대기청(NOAA)의 극궤도 위성이 관측한 2016~2018년의 7월 평균 수온 분석 결과에서도 한반도 주변 해역의 고수온 영역이 지속적으로 북쪽으로 확장하고 있다.

2016년에는 7월의 평균 25도 등수온선(바다 표층 수온이 같은 곳을 이은 가상의 선)이 태안과 울산 인근 해역에서 나타났으나, 지난해에는 백령도와 속초, 올해는 평안북도와 함경남도 인근 해역까지 북상했다.

‘폭염→수온 상승→열대야’ 악순환

경북 포항시 남구 구룡포 해수욕장. [뉴스1]

경북 포항시 남구 구룡포 해수욕장. [뉴스1]

최근 수온이 급격하게 상승한 가장 큰 이유는 장기간 지속한 폭염으로 대기 온도가 상승하고 일사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 지난 몇 년간 직접적인 태풍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깊은 곳의 찬 바닷물과 표층의 따뜻한 바닷물이 뒤섞여 표층 수온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지 못한 것도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호만 기상청 해양기상과 사무관은 “표층의 뜨거운 바닷물과 아래층의 차가운 물이 순환하면서 대기로 보내는 열을 줄여야 하는데, 기온 차가 크다 보니 두 층이 섞이지 못하고 다시 대기로 열을 방출하고 있다”며 “밤에 바다에서 방출된 열이 한반도 전체에 영향을 주면서 열대야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어획량 감소·양식장 집단 폐사”  

30도를 웃도는 폭염이 계속되면서 바다 양식장도 고수온 피해 예방에 비상이 걸렸다. 사진은 지난달 17일 전남 여수시 신월동의 한 양식장에서 어민들이 그늘막을 치는 모습. [연합뉴스]

30도를 웃도는 폭염이 계속되면서 바다 양식장도 고수온 피해 예방에 비상이 걸렸다. 사진은 지난달 17일 전남 여수시 신월동의 한 양식장에서 어민들이 그늘막을 치는 모습. [연합뉴스]

기상청은 한반도를 둘러싼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서 폭염도 매년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또, 바다의 어종 변화와 어획량 감소, 양식장 집단 폐사 등의 피해도 계속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사무관은 “고수온 상태에서 태풍이 한반도에 접근하면 세력이 약해지지 않고 바다의 열에너지를 공급받아 더 강력해질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도 커질 것”이라며 “해수면이 올라가고 파도와 해일도 커지면서 해안 침식도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천권필 기자 feeli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