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9월 금리 인상 쐐기박은 파월 … 한은 ‘동결 행진’ 멈출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파월 의장. [EPA=연합뉴스]

파월 의장. [EPA=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기세가 거침없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금리 인상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음에도 다음 달 정책금리 인상을 기정 사실화했다. 대통령의 위세에 눌리지 않는 통화정책 지휘자의 ‘마이 웨이’다. 파월의 뒤를 든든히 받치는 건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미국 경제다.

2분기 성장률 포함 미국 경제 탄탄 #Fed 긴축 모드 지속 가능성 높아 #고용·투자 등 경제지표 계속 악화 #한은, 당장 금리 올리기엔 큰 부담

지난달 31일~1일(현지시간) 열린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미국 정책금리를 연 1.75~2.0%로 유지했다. Fed는 회의 직후 발표한 성명서에서 “(미국의) 경제 활동이 강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며 미국 경제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미국 경제는 흠 잡기 어려울 정도로 좋다. 2분기 성장률은 전분기대비 4.1%(연율)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2.8% 성장했다. 6월 실업률은 4.0%다. Fed가 금리 인상의 중요한 잣대로 따지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상승률은 6월 전년동월대비 1.9%를 기록했다. Fed의 목표치(2%)에 임박했다.

시장은 다음달 정책금리 인상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선물 시장이 예상하는 다음달 정책금리 인상 확률은 이날 87.7%로 높아졌다. 이를 반영하듯 1일(현지시간)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날보다 0.04% 포인트 오른 3.0064%로 거래를 마쳤다. 5월 22일 이후 처음으로 3%대에 재진입했다. 수위를 높여가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에도 Fed는 긴축 모드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경기가 좋을 때 금리를 올린다는 원칙을 지킬 것이란 분석이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론 템플 라자드 에셋 매니지먼트 미국 주식 총괄 책임자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무역 갈등이 기업 이익과 경제를 위협할 수 있지만 Fed가 (통화정책) 방향을 바꾸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Fed는 지난 3월과 6월의 금리 인상을 포함해 올해 4회의 정책 금리 인상을 예상했다.

관전 포인트는 이러한 Fed의 행보가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저울질하는 한국은행을 자극하느냐다. Fed가 시장 예상대로 다음달에 금리를 올리고, 한은이 금리를 유지하면 현재 0.5%포인트 차이로 미국이 높은 한·미간 금리 격차는 더 벌어진다.

한은 내에서도 금리인상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달 12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전체회의에선 금리 인상 소수의견이 등장했다. 지난해 11월 한은이 6년 5개월 만에 금리를 올리기 한 달 전 금통위에서도 인상 소수의견이 등장했다.

뿐만 아니다. 7월 금통위 의사록을 보면 2명의 금통위원이 금리 인상 시사 발언을 했다. 이주열 총재가 지난달 2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경제 성장세가 잠재성장률(2.8~2.9%) 수준으로 가고 물가도 2%에 수렴하면 금리의 완화 수준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 것도 예사롭지 않다.

금리 인상을 위한 명분도 쌓고 있다. 최근 한은은 정부 규제를 받는 ‘관리 물가’를 제외한 2분기 소비자 물가가 전년동기대비 2.2% 상승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금통위에서도 이와 관련해 실제 물가 상승 압력이 상당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은의 물가상승률 목표치는 2%다.

문제는 경기다. 투자와 고용 지표의 악화는 외환위기 시절을 방불케 한다. 금리 인상은 불황으로 치닫는 경기를 더 주저앉힐 수 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경제지표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금통위가 당장 기준금리를 올리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이 총재의 발언이나 인상 소수의견 등은 연내 인상에 대한 신호를 시장에 미리 주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