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창간 23돌 기념 국민생활 의식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정부가 뭐라 하든, 통계가 어찌 나오든 살림을 꾸려나가는데 걱정이 크다는 의견이 많았다.
우리가 당면한 경제문제 중 가장 심각한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절반 가까운 (45·1%) 응답자가 「물가 불안」 을 꼽았고 바로 다음도 「부동산 등에 대한 투기풍조」 (36·8%) 로 나타나 요즘의 심상치 않은 물가 오름세에 대한 폭넓은 불안감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또 경제민주화와 관련한 노사간 갈등과 분규 (38·6%), 빈부격차 (33·1%)를 우리경제의 가장 심각한 요인으로 꼽는 사람도 매우 많았다.
반면 과거에 높은 관심이 모아졌던 외채문제는 국제수지의 흑자전환 등 여건변화에 따라 관심이 낮아져 10·8%에 그쳤다.
요즈음 문제가 되고 있는 농축산물 개방에 대해서는 대부분 반대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농축산물 수입개방에 대해 찬성한다는 의견은 적극적인 찬성 (2·7%), 대체로 찬성 (13%) 을 합해 15·7%에 불과한 반면, 반대의견은 적극적인 반대 42·1%, 대체로 반대한다는 의견이 34·4%로 무려 76·5%가 반대쪽에 섰다.
농축산물의 수입반대에 대한 이 같은 부정적인 반응은 공산품 수입개방의 점진적인 확대와 농축산물의 수입개방은 분명히 구분돼야 한다는 입장을 뚜렷이 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미국의 압력에 의한 가격인하로 소비가 크게 늘고 있는 양담배에 대해서도 「사지 말자」 는 시민운동이 잘하는 일이라는 반응이 절대다수를 차지, 강한 양담배 거부 반응을 나타냈다.
양담배 불매운동에 대해 매우 잘한다 (54·8%) , 대체로 잘한다 (15·8%)로 잘한다는 의견이 전체의 70·6%를 차지하고 있고 잘못하는 일 (12·1%) 이라거나 대체로 잘못된 일 (10·5%) 이라는 의견은 22·6%에 그쳤다.
그린벨트에 대해서는 어떤 경우든 해제시켜서는 안 된다는 의견은 9·2%에 불과한 반면, 공공복지 시설수요나 주택난 등을 감안해 선별 해제해야한다는 의견이 절반이상 (51·2%) 이었고 전면 재 검토해야한다 (26·3%) 는 의견도상당수여서 현행 그린벨트 정책에 대한 지지도가 의외로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과학기술에 대한 기대는 암· AIDS 등 난치· 불치병치료에 3O·8%가 응답, 과학기술발전과 건강문제를 밀접하게 생각했고 다음으로 자동화에 의한 근로생활조건개선 (27·6%) , 공해문제 해결 (18·6%) , 식량문제 해결 (14·9%) 을 들었다.
특히 과학기술발전으로 여자는 난치· 불치병 치료에, 남자는 자동화에 의한 근로생활조건 개선기대가 높았다.
끊임없는 논란거리로 남아 있는 고교 및 대학 입시제도는 학교별 자율화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의견이 지난해에 이어 다수를 차지했다. 이는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고교 평준화 및 대입제도 개선작업에도 시사점을 준다.
대입제도는 대학별 자율선발에 42·6%가 찬성한 반면 현행제도 (대학별 선 지원-후 학력고사) 에는 23·9%만이 찬성, 종전의 선 학력고사-후 지원제도 (25%) 보다 낮은 찬성률을 보였다.
고입제도는 과거처럼 학군을 무시한 학교별 입학시험 (40·6%) 과 학군 내 학교별 입학시험 (25·6%) 을 합해 66·2%의 찬성률을 보여 현행 학군 내 추첨배정 (23·9%) 을 개선하여 학교별 입시를 부활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 및 대학의 입시 자율화는 고학력· 고소득층으로 갈수록 찬성률이 높았다.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현안의 하나인 노사분규 책임을 묻는 설문에는 과반수를 넘는 51·1%가 「사용자에게 있다」 고 응답한 반면 「사용자보다 노동자 책임」 은 10·3%. 38·2%는 「노동자와 사용자 중 어느 쪽이 더 크다고 말하기 어렵다」 는 중간입장을 취했다.
노사분규에 대한 「사용자 책임」 의견은 남자· 저 연령층· 고 학력층에서 상대적으로 공감하는 비율이 높았다.
서울 올림픽에 가장 크게 기대하고 있는 것은 한국의 국제적 지위향상 (51·8%) 이었고 다음이 한국의 역사· 문화소개 (26·4%) 였다.
87년의 조사와 비교 할 때 국제적 지위향상을 바라는 사람이 조금 줄어들고 역사· 문화소개를 원하는 사람이 그만큼 늘어났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