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 프리즘] 중국은 실리콘밸리를 능가할 수 있을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8면

임정욱의 스타트업 스토리

모바일 간편결제가 일반화된 중국에서는 재래시장에서도 텐센트의 위챗페이, 알리바바그룹의 알리페이 앱으로 결제할 수 있다. [EPA=연합뉴스]

모바일 간편결제가 일반화된 중국에서는 재래시장에서도 텐센트의 위챗페이, 알리바바그룹의 알리페이 앱으로 결제할 수 있다. [EPA=연합뉴스]

90년대 중반부터 실리콘밸리를 오가며 기술에 관한 한 그곳이 세계 최고라는 데 의심을 품어 본 일이 없다. 애플·구글·페이스북 같은 글로벌 기술 트렌드를 선도하는 혁신 기업들이 계속 등장하며, 글로벌 인재들이 모여들어 혁신적인 스타트업을 창업하고, 눈 밝은 벤처 투자자들이 활발하게 거액을 투자하는 실리콘밸리는 난공불락이라고 생각해왔다.

바이두 등 중국 BAT가 투자 주도 #기업가치 높은 스타트업 넘쳐나 #미국·중국 ‘테크 양강’ 시대 열려

그런데 요즘 들어 처음으로 중국이 실리콘밸리를 능가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됐다. 나는 원래 공산당 일당 독재 국가로, 외부와 폐쇄된 ‘만리장성 인터넷’으로 악명이 높고, 강도 높은 검열로 구글조차 두 손 들고 나가도록 만든 중국에서는 혁신은 나올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내가 틀렸다. 중국의 정보기술(IT) 생태계는 전성기를 구가하며 성장해 이제 실리콘밸리를 능가할 준비를 하고 있다. 왜 그런가.

우선 중국에는 실리콘밸리 못지않은 IT 대기업들이 있다. BAT로 일컬어지는 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의 존재다. 특히 텐센트와 알리바바는 실리콘밸리 공룡 기업 못지않은 500조~600조원의 시가총액을 가진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 정도 시가총액을 자랑하다 보니 자본력도 상당하다. 이들은 실리콘밸리 경쟁 회사들 이상으로 공격적으로 전 세계의 혁신 회사에 투자하고 필요하면 인수한다.

‘차기 BAT’가 될만한 ‘유니콘 스타트업’도 중국에는 넘쳐난다. 유니콘 스타트업이란 아직 대기업에 매각되지 않은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 회사를 일컫는다. 스타트업 분석업체인 CB인사이츠의 집계에 따르면 이런 유니콘 스타트업이 미국에 약 120여 곳, 중국에 60여 곳이 있다. 2014년 이전만 해도 중국에는 유니콘 스타트업이 거의 없었다. 불과 4년 만에 이 정도로 미국을 바짝 쫓아 왔다.

중국 상하이에선 무단횡단하는 사람의 신원을 얼굴인식 소프트웨어로 확인해 공개한다. [연합뉴스]

중국 상하이에선 무단횡단하는 사람의 신원을 얼굴인식 소프트웨어로 확인해 공개한다. [연합뉴스]

중국이 실리콘밸리를 앞설 수 있는 차별화된 요소는 역설적으로 중국 정부의 존재다. 육성이 필요한 신산업 분야는 규제를 최소화해서 키우며 국가 전략을 동원해 급성장시키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인공지능 분야에서 중국의 굴기다.

중국 정부는 2030년까지 인공지능 분야에서 미국을 앞서겠다고 선언하고 2017년부터 해마다 연 6조원 이상을 쏟아붓고 있다. 게다가 상대적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개인정보 공개, 침해에 대해서 무감각한 중국시장의 특성상 인공지능 기업들이 엄청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유로운 실험을 하면서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이런 중국 정부의 뒷받침과 유리한 시장환경에 힘입어 중국의 IT 공룡들과 스타트업들이 인공지능에 무섭게 투자 중이다.

자율주행차 아폴로 프로젝트와 인공지능 듀어OS를 앞세운 바이두는 회사의 미래를 인공지능에 걸었다. 대기업은 그렇다고 해도 창업한 지 몇 년 되지 않은 스타트업에도 수천억의 거금이 투여된다. 창업한 지 3년 정도밖에 되지 않은 인공지능 안면인식 기술을 개발하는 상탕커지(센스타임)라는 중국 스타트업은 2017년 7월에 퀄컴 등으로부터 약 4500억원을 투자받은 데 이어 2018년 3월 알리바바 등으로부터 약 6300억원을 투자받아 전 세계에서 가장 몸값이 높은 인공지능 스타트업이 됐다. 인공지능 기술이 핵심인 자율주행차 분야에서도 바이두 출신 제임스 펑이 2016년 말 창업한 포니AI가 2018년 초 약 1200억원을 투자받았다.

사실 이 정도로 큰 자금이 들어가면 쉽게 망하기도 어렵다. 중국 기업들은 이런 자금력을 바탕으로 MIT·스탠포드대·UC버클리 같은 명문대에서 수학하거나 구글 등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한 최고 수준의 중국계 인재를 스카우트해서 회사를 운영한다. 기술 수준에서 미국을 빠르게 따라잡을 수 있는 비결이다.

미·중의 AI 스타트업 투자

미·중의 AI 스타트업 투자

이렇게 개발된 인공지능은 빠르게 13억 중국인들이 날마다 사용하는 인기 서비스에 응용되고 있다. 중국 전역에서 하루 2500만 번 이상의 스마트폰 승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디추싱은 승객과 운전기사를 빠르게 매칭시키고 운행 경로를 최적화하고 부정행위를 방지하는 데 인공지능 기술을 응용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더 많은 전문가 칼럼을 만나보세요.

온라인에서 더 많은 전문가 칼럼을 만나보세요.

인공지능 등 소프트웨어 산업의 빠른 발전 위에 하드웨어 제조 분야의 경쟁력과 빠른 속도까지 더해져 중국의 경쟁력은 더욱 강해지고 있다. 이미 중국 광둥성 선전은 세계의 ‘하드웨어 실리콘밸리’로 불리고 있으며 글로벌 하드웨어 스타트업들의 생산 기지가 된 지 오래다. 하드웨어 액셀러레이터인 HAX가 2017년 8월에 낸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 18개의 하드웨어 관련 유니콘 스타트업 중 11곳이 샤오미·DJI 등 중국 회사였고 미국 회사는 6곳에 불과했다.

지적재산권을 무시하고 짝퉁만 만드는 나라라고 중국을 무시하는 것도 옛말이 될 가능성이 크다. 2018년 3월 일본 닛케이신문은 특허 국제출원 건수에서 중국이 일본을 꺾고 2위가 됐다고 보도했다. 기업별로 보면 중국 기업인 화웨이가 1위, ZTE가 2위였다.

이런 이유로 인해서 나는 최근에 “중국이 정말로 실리콘밸리를 능가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인공지능 산업 육성을 국가 과제로 내세운 시진핑 주석과 대조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인공지능 산업보다 철강·알루미늄 등 전통 산업을 살리는 데 더 관심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실리콘밸리 테크 기업들과 사이도 그다지 좋지 않다. 양국 리더들의 이런 자세가 앞으로 어떤 변화를 만들어낼까.

임정욱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센터장

임정욱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센터장

중국이 실리콘밸리를 능가하지는 못한다 해도, 최소한 미·중 테크 양강 시대가 열린 것은 확실하다. 실리콘밸리 못지않게 중국의 IT 변화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다.

임정욱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센터장 jlim@startupall.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