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국판 트위터 실검 서비스 1주일 폐쇄…순위 조작과 전쟁 나섰다

중앙일보

입력

중국판 트위터 격인 웨이보가 27일 당국의 지시로 SNS 인기 검색어 순위 서비스를 27일 21시부터 2월 3일 21시까지 1주일간 폐쇄하고 대대적인 개편에 들어간다고 공고했다. [사진=웨이보 웹사이트]

중국판 트위터 격인 웨이보가 27일 당국의 지시로 SNS 인기 검색어 순위 서비스를 27일 21시부터 2월 3일 21시까지 1주일간 폐쇄하고 대대적인 개편에 들어간다고 공고했다. [사진=웨이보 웹사이트]

중국 정부가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의 실시간 검색어(실검) 순위 서비스를 1주일간 폐쇄시켰다. 한국에서도 대형 검색 포털의 실검 순위 서비스가 건전한 사회 여론을 왜곡 반영한다는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중국 당국의 강도 높은 폐쇄 조치가 주목된다.

인터넷정보판공실, 웨이보 책임자 면담 후 폐쇄 조치 #조작 혐의 드라마·연예인 명단 발표…3개월간 배제 #여론 재갈 물리기 우려도…지난해부터 SNS 검열 강화

중국 내 모든 인터넷 기업과 콘텐트를 관리·감독하는 중국인터넷정보판공실(網信辦·왕신반) 산하 베이징판공실은 27일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 관리자에 대해 웨탄(約談·사전 약속을 잡아 진행하는 조사와 교육)을 실시했다고 관영 신화사가 28일 보도했다. 베이징 왕신반은 27일 공식 웨이보를 통해 “웨이보 측이 이용자가 올린 불법 정보에 대한 심사 의무를 다하지 않았고, 거짓·저속·선정·민족 차별 등의 불법·유해 정보를 지속적으로 조작해 게시하는 엄중한 문제로 기업 책임자를 웨탄 조치했으며 문제가 두드러진 실시간 검색어 순위, 핫이슈 순위, 웨이보 문답기능 등을 1주일간 폐쇄하고 전면 개정한다”며 “폐쇄 기간은 1월 27일 21시부터 2월 3일 21시까지로 한다”고 공고했다.  베이징 왕신반 책임자는 “시나 웨이보는 인터넷 관련 법률 법규와 관리 요구를 위반했으며 위법 정보를 전파하는 엄중한 문제로 인터넷 여론 생태계에 악렬한 영향을 조성했다”고 지적했다.

웨이보 측은 잘못을 순순이 인정했다. 웨이보를 운영하는 대형 포털 시나망(新浪網)은 “신중하고 엄숙한 태도로 이번 사건에서 교훈을 얻어, 플랫폼 업무와 인원 관리를 전면적으로 강화해 사회와 네티즌에 대한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실검 서비스 쇄신안도 나왔다. 28일 오후 ‘웨이보관리원’ 명의로 나온 쇄신안은 “인기 검색어 순위와 핫이슈 순위가 웨이보 이용자의 관심을 빠르고 정확하게 반영하면서 크게 주목받게됐다”며 “이로 인해 일부 기업과 연예계 업자가 주목도를 높이기 위해 조직적으로 순위 조작행위를 하면서 관련 검은 산업이 출현했다”고 진단했다. 쇄신안은 이어 “실검 순위와 핫이슈 순위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빅데이터 식별을 기초로한 조작 방지 체계를 만들어왔다”며 “실검 순위 중 매일 약 40%에 해당하는 비정상 인기 검색어의 순위 포함을 배제했다”고 밝혔다. 또한 “자사의 조작 방지 기술이 이용자 및 사회의 기대를 만족시키지 못함에 따라 이후 실검 조작 행위에 대한 조치 강도를 높이고 조작으로 이익을 얻는 자는 처벌하겠다”고 강조했다.

웨이보 측은 이와 함께 1월 한달 동안 실검 조작 혐의가 있는 30개 검색어를 공시했다. 조작 검색어는 대부분 인기 드라마 제목 및 인기 연예인, 사건 명칭으로 3개월간 실검 순위에서 제외된다고 덧붙였다. 또한 공안 기관과 협조해 위법 범죄 행위 증거를 공유해 법률에 따라 건강한 인터넷 환경을 지킬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당국의 이번 실검 순위 조작에 대한 철퇴가 정부 비판에 대한 재갈 물리기라는 비판도 나온다. 자유아시아방송(RFI)는 28일 “최고 지도부가 조금이라도 풍자가 들어간 논의를 용납하지 못한다는 점이 부각됐다”며 “주관 부문이 경미한 사고도 감당하지 못하고 상부에서 듣기 싫은 언론이 새어나갈까 두려워한다”고 지적했다.

베이징 왕신반은 19차 당 대회를 앞둔 지난해 9월 하순부터 SNS 통제를 강화했다. 중국 최대 검색 포털인 바이두(百度)는 327개 인터넷 경찰 계정을 개설해 콘텐트를 검열했고, 시나 웨이보는 웨이보 이용자를 대상으로 1000명의 감독원을 공모해 선정적인 불법 유해 정보에 대한 고발 시스템을 가동한 바 있다.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shin.kyung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