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다른 지역에도 강남급 인프라와 교육시설을 … 저절로 이사 가게 만들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강남 집값의 역설 <하> 편의시설 경쟁력 

일본 정부는 2014년부터 지방 상생정책의 하나로 ‘지역부흥협력대’를 운영하고 있다. 도시 거주민들을 인구 소멸 위기를 겪는 지방 도시와 농어촌에 보내고 이주자들에게 해마다 2000만~4000만원 정도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일본의 수도권 및 대도시에서 살 수도 있었던 이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아 농촌과 소도시로 이주해 낡은 빈집을 고치고 창업활동에 몰입한다.

도시공학자들의 ‘투트랙 제안’ #“강남 내엔 초고층 재건축이 방법”

이처럼 돈을 손에 쥐여 주고 지방으로 내려가도록 하는 일본의 정책을 그대로 한국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강남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주변 지역에 대한 투자를 활성화해 강남 수요를 분산해야 한다는 제안이 많다.

정석

정석

관련기사

정석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높은 강남의 집값 문제를 두고 수요와 인구 분산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정 교수는 “아이의 교육 때문에 불가피하게 강남에 가려고 했던 사람들은 이에 대한 대안이 있다면 강남이 꼭 최고의 선택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가 지원하거나 지방자치단체가 노력해 수요 분산을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요 분산의 가장 좋은 방법으로 전문가들은 인프라 확산을 꼽는다.

인구가 비슷한 노원구(13개)보다 2배나 더 많은 지하철역이 강남구(27개)에 있고, 서울의 전체 6974개 편의점 중 688개가 강남에 쏠려 있다. 공공·민간 가릴 것 없이 인프라가 강남에만 쏠리는 현상을 손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심교언

심교언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예전에는 ‘강남을 대체하는 신도시’라는 문구가 부동산시장의 마케팅 용어였다”며 “강남만큼 뛰어난 문화시설을 만들어 사람들이 이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강남 이외 지역의 매력도를 높이는 것은 강남의 수요를 분산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갑성 연세대 도시공학과 교수 역시 “강남은 교육환경이나 생활여건이 모두 좋고 고급 일자리도 많다”며 “강남 개발 초기 이곳에 학교와 일자리 등 시설이 들어선 것처럼 강남에서 점점 주변 지역으로 고등학교 같은 교육기관과 질 좋은 일자리가 많아지는 등 개발이 되면 충분히 분산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

공공과 민간의 투자 분산이 강남 외부에서 이뤄져야 하는 대책이라면 강남권에 부동산을 추가로 공급하는 방안은 강남 내부에서 이뤄질 수 있는 처방이다. 도시계획·부동산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강남권의 높은 수요에 부응하는 공급이 이뤄져야 강남 집값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창무

이창무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강남에서 살고자 하는 이들은 많은데 주거지 공급이 그만큼 확대되지 않아 희소성을 높이게 되고 가격이 올라간다”며 “기존 4~12층짜리 아파트를 30층 이상으로 올리는 등 재건축을 통해 도시의 밀도를 지금보다 높이는 게 유일한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오원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