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로 조각으로 영상으로 … 타인에게 말을 걸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모스 부호를 물리적으로 표현한 조각 ‘수신자 전원에게 알림’. [사진 아트선재센터]

모스 부호를 물리적으로 표현한 조각 ‘수신자 전원에게 알림’. [사진 아트선재센터]

1844년 발명된 모스 부호(Morse code)는 점과 선의 조합만으로 메시지를 전한다. 과거엔 장거리 통신에 요긴하게 사용됐지만, 이제는 쓸모 없어진 통신 수단이다. 1997년 1월 31일, 프랑스 해군은 지난 130여 년간 해양 조난 통신에 사용해온 모스 부호에 종지부를 찍었다. 그들이 마지막으로 송출한 메시지는 다음과 같았다. “수신자 전원에게 알림. 이것은 영원한 침묵에 앞서 보내는 우리의 마지막 외침”.

호주 작가 메시티 ‘릴레이 리그’전 #지금은 사라진 모스 부호 재해석 #언어보다 더 풍부한 소통의 풍경

서울 소격동 아트선재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호주 작가 안젤리카 메시티(42)의 개인전 ‘안젤리카 메시티:릴레이 리그’는 당시 프랑스 해군이 모스 부호에 전한 결별 인사를 조각과 음악, 몸짓, 영상으로 재현하며 ‘언어’와 ‘소통’의 의미를 탐색하는 자리다. 작가는 이 모스 부호에서 ‘송신’과 ‘수신’이라는 모티브를 끌어와 이야기를 시작한다.

이야기는 이런 식이다. 메시티는 모스 부호를 조각 작품으로 표현하고, 그가 만든 영상 작품에서 뮤지션은 이 부호를 악보로 해석해 리듬으로 연주한다. 또 다른 작품에선 안무가가 이 음악을 자신의 춤으로 표현하고, 이를 본 남녀 무용수는 오로지 몸짓으로 대화를 나눈다. 작품을 통해 이야기는 꼬리를 물고 다른 언어로 풀이되며 이어지는 셈이다.

‘릴레이 리그’의 한 장면. [사진 아트선재센터]

‘릴레이 리그’의 한 장면. [사진 아트선재센터]

흥미로운 것은 메시티가 이 이야기를 전하는 과정에서 분명하게 뺀 것이 하나 있다는 점이다. 그것은 우리가 흔히 쓰는 소통의 도구, 즉 입으로 하는 말(verbal language)이다. 떠들썩한 말없이도 소통과 교감이 이뤄지는 풍경을 섬세하게 포착한 작가의 통찰이 눈에 띄는 대목이다.

전시장에서 관람객이 가장 먼저 만나는 작품은 ‘수신자 전원에게 알림’(2017)이라는 제목의 황동 조각이다. 작가가 ‘사운드 조각’이라고 부르는 이 작품은 프랑스 해군이 장음과 단음의 부호로 송출한 마지막 전신을 물리적인 형상으로 표현한 것이다.

3채널의 비디오 작품 ‘릴레이 리그’(2017, 8분)는 최후의 모스 부호가 각기 다른 시공간에 있는 뮤지션과 무용수에 의해 소리와 리듬, 춤으로 해석된 풍경을 보여 준다. 드럼 연주자는 모스 부호를 정교한 악보로 번역해 빗자루와 드럼 스틱 등으로 연주하고, 안무가는 이 사운드를 자신의 몸짓으로 표현한다.

영상 작품 ‘시민 밴드’의 한 장면. 알제리 출신의 난민 음악가가 파리 지하철에서 노래하고 있다. [사진 아트선재센터]

영상 작품 ‘시민 밴드’의 한 장면. 알제리 출신의 난민 음악가가 파리 지하철에서 노래하고 있다. [사진 아트선재센터]

4채널 영상인 ‘시민 밴드’(2012, 21분 25초)는 카메룬·알제리·몽골·수단 등의 고향을 떠나 프랑스와 호주 등으로 이주한 네 명의 음악가가 자신의 고향 음악을 악기나 휘파람 등으로 연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비디오 앙상블이다. 네 명의 연주가 끝난 뒤 각 연주자의 음악이 하나가 되어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화음은 다른 문화와의 공존과 화합, 공동체, 교감이라는 화두를 울림 있게 전한다.

호주 시드니 출신으로 현재 파리에서 활동하고 메시티는 “2015년 파리에서 테러 사건이 발생했을 때 그곳에 있었다. 소통을 주제로 한 내 작업 자체가 위기 상황에 모스 부호로 조난 메시지를 송출하는 것과 다르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2009년부터 호주와 유럽 등지에서 주목받아온 메시티는 퍼포먼스와 사운드 작업으로 소통의 풍경(the landscapes of communication)을 탐구해왔다. 말이 넘쳐나고, 폭력이 난무하는 시대에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찾아낸 다양한 소리와 제스처로 하모니(harmony)에 대한 갈망을 발신하고 있는 우리 시대 작가의 모습이다. 2월 11일까지. 관람료 성인 5000원, 학생 3000원.

이은주 기자 jul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