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민노총 위원장에 최장기 철도파업 주도한 김명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김명환. [연합뉴스]

김명환. [연합뉴스]

민주노총의 새 위원장에 김명환(사진) 전 철도노조 위원장이 당선됐다. 임기는 내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다.

“문 대통령과 노동현안 논의 희망” #현 노사정위 참여엔 부정적 입장 #투표율 41%, 조합원 무관심은 과제

민주노총은 “22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된 임원선거 결선투표에서 김 후보자가 66%를 득표해 당선됐다”고 밝혔다. 이번 투표에는 조합원 79만2889명 중 32만8630명이 참여해 총투표율은 41.5%로 과반에 못 미쳤다. 이는 민주노총 내 조합원의 무관심을 반영하는 것으로, 향후 김 신임 위원장이 풀어야 할 과제로 등장했다.

김 신임 위원장은 2013년 철도 민영화를 저지한다는 명분으로 당시로선 최장기인 23일 동안 철도파업을 주도했었다. 이로 인해 업무방해 혐의로 기소됐으나 지난 2월 대법원에서 무죄판결을 받았다.

그는 당선 소감으로 “노동존중사회 실현을 표방한 문재인 정부와 당당하게 교섭하고, 반노동·반개혁에 대해서는 완강하게 투쟁하라는 주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투쟁 일변도이던 민주노총의 노선을 대화와 투쟁을 병행하는 쪽으로 수정하겠다는 뜻이다.

실제로 김 신임 위원장은 선거운동을 하면서 사회적 대화 참여 의사를 표명해 왔다. 낙선한 이호동 전 발전노조 위원장이 “사회적 대화는 민주노총의 분열과 약화를 뜻한다”고 밝힌 것과 대조적이다. 다만 김 위원장은 노사정 대표와 전문가로 구성된 현재의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참여에는 부정적이다.

그는 새로운 사회적 대화체로 대통령과 노사 대표 각 2인, 정부 대표 2인, 국회 대표로 구성된 ‘신 8자 회의’ 구성을 제안했다. 이는 경영계 대표를 2명 참여시키지만 정부와 정치권을 대거 포진시켜 실질적으로는 노정(勞政) 교섭을 노리는 것으로 보인다. 노사 자율 원칙 대신 정치적 해결을 모색하는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대통령의 참여를 전제조건으로 달아 필요하면 대통령과 담판 성격의 사회적 대화를 노리고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김 신임 위원장은 이날 당선 소감을 밝히는 자리에서도 “형식과 방법에 상관없이 문재인 대통령과 만나 노동 현안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고 말했다. 재계와의 만남에 대해서는 “부패한 정부의 한 축이 재벌이다. 그러나 (노동문제에 대해) 물어볼 필요가 있다”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김기찬 고용노동선임기자 wols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