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취재일기] 미래 인재 교육, ICT 기업이 앞장서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9면

김도년 산업부 기자

김도년 산업부 기자

지난 7월28일 문재인 대통령과 기업인 간 간담회. 황창규 KT 회장은 대통령에게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센터 설립을 제안했다. 간담회 이후 KT는 취업으로 연결되는 코딩(컴퓨터 프로그래밍) 전문 교육기관 ‘AI 교육센터’를 열었다.

정부도 미래 인재 교육에 손을 놓고 있는 건 아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9년부터 지능정보특성화 대학원을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또 올해 기준 20여개인 소프트웨어 중심대학도 2019년까지 30개로 늘릴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2022년에는 고급 AI 인재가 2만6000명가량 양성될 것이라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미래 먹거리가 재편되는 상황에서 이에 필요한 인재 양성은 ‘발등의 불’이 됐다. 인공지능 로봇부터 자율주행 차까지, 미래 핵심 기술 대부분을 수입하는 한국이 인적자원마저 수입하지 않으려면 교육에 열을 올리지 않고는 다른 도리가 없는 것이다.

아쉬운 점은 정부나 기업이나 당장 급한 인력 수급을 해소하는 데만 혈안이 돼 있다는 점이다. 초·중·고등학교와 대학으로 이어지는 교육 과정을 어떻게 바꿔 나갈지에 대한 밑그림은 보이지 않는다.

미래형 인재 양성에 대한 정책당국 간 인식 차이도 극과 극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에는 ICT 인재 양성이 필수적인데도 교육부에 코딩 교육 얘기만 꺼내면 기존 교사 반발이 우려된다는 얘기를 듣기 일쑤”라고 토로했다.

공교육에 발 빠른 변화를 기대할 수 없다면, 기업이라도 나서야 한다. 어린 시절부터 코딩을 배운 인재가 자라면 결국 취업을 통해 기업의 자산이 되기 때문이다. 프랑스 대안 코딩 대학 에꼴 42, 미국 취약계층을 위한 코딩 학교 P테크 등을 만든 곳도 모두 기업들이다. 핀란드의 중·고등학생들에게 코딩을 가르치는 민간 IT 전문 교육업체들도 모두 대기업의 후원을 받고 있다.

요즘 초등학생과 중학생 중에는 장래희망을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브 콘텐트 제작자)’라고 적는 아이들이 적지 않다. 공교육보다 아이들이 먼저 ICT 환경에 적응하고 있는 셈이다. 우리도 아이들을 위해 핀란드처럼 정규 수업 시간에 민간 IT 기업의 무료 코딩 교실을 열어보는 건 어떨까. 프랑스처럼 졸업장·학비도 필요 없는 대안 코딩 학교를 만들어보는 건 어떨까. 국민이 체감하는 4차 산업혁명의 성과가 반드시 우리 기술로 만든 기계를 시연하는 데에만 국한되진 않을 것이다.

김도년 산업부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