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지진 난 포항·경주가 학교 지진경보시스템 거부 이유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상청이 울산 지역 초등학교 5곳에 지진 조기경보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구축했다. 사진은 울산 북구 중산초등학교에 설치된 시스템. 교내방송 시스템과 기상청 조기경보시스템을 연결해 조기경보가 발령되는 순간 학교에 대피 방송이 나온다. [사진 중산초등학교]

기상청이 울산 지역 초등학교 5곳에 지진 조기경보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구축했다. 사진은 울산 북구 중산초등학교에 설치된 시스템. 교내방송 시스템과 기상청 조기경보시스템을 연결해 조기경보가 발령되는 순간 학교에 대피 방송이 나온다. [사진 중산초등학교]

기상청이 지난 6월 지난해 강진을 겪은 경주교육지원청에 ‘지진정보전달 시범 서비스(지진 조기경보시스템 설치)’를 제안했지만 지원청이 이를 학교에 제대로 전달하지 않고 거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서비스는 ‘지진 구축’ 사업의 하나로 빠른 대피를 도와준다.

기상청 지진경보 발령 순간, #교내에서 대피방송 나와 #긴급재난문자보다 빨라 #“안전한 대피 돕는 효과” #경주·포항 제안했지만 거절 #“번거롭게 생각한 면 있는 듯”

서비스를 신청하면 기상청이 지진경보를 발령하는 순간 교내 방송으로 지진 규모에 따른 행동 요령이 안내된다. 교내방송 시스템과 기상청 지진 연결하는 방식이다. 우남철 기상청 지진전문분석관은 “의사판단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가장 빨리 지진 정보를 제공해 안전한 대피를 돕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시범 사업 대상은 전국 5개 학교다. 예산은 지진 구축 사업 예산 27억원 중 일부로 기상청이 부담한다. 기상청 관계자는 “지난해 규모 5.8의 강진을 겪은 경주를 중심으로 시범 지역을 찾았다”며 “지난 6월쯤 경주·포항교육지원청에 사업을 제안했지만 필요성을 못 느끼는 듯 거절했다”고 말했다.

경상북도 경주시 경주교육지원청 전경. [카카오맵 캡쳐]

경상북도 경주시 경주교육지원청 전경. [카카오맵 캡쳐]

이에 대해 경주교육지원청은 당시 경주 지역 모든 학교에 사업 내용을 알렸지만 시스템 설치를 원하는 곳이 없었다고 밝혔다. 포항교육지원청 홍보 담당자는 “기상청의 연락을 받은 담당자를 못 찾겠다”고 말했다.

경주교육지원청 담당자는 “초등학교 43곳, 중학교 20곳, 고등학교 20곳에 학교 간 전언통신망으로 신청을 원하면 알려달라고 연락했다”며 “5곳 정도에서 관심을 보였지만 방송 장비 여건상 하지 않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상청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최신 장비가 아니어도 기존 교내방송 장비에 설치할 수 있다. 경주교육지원청 담당자는 “학교 측에 교내방송 장비만 있으면 된다고 전달했지만 새로운 사업이라 좀 번거롭게 생각한 면이 있는 것 같다”고 학교의 안이한 대처를 일부 인정했다.

지난해 9월 발생한 지진으로 경주의 한 초등학교 건물 벽면에 균열이 생기고 벽 일부가 떨어졌다. [프리랜서 공정식]

지난해 9월 발생한 지진으로 경주의 한 초등학교 건물 벽면에 균열이 생기고 벽 일부가 떨어졌다. [프리랜서 공정식]

게다가 확인 결과 일부 경주 지역 학교가 이 내용과 관련해 연락을 받지 못했다. 지원청이 사업 내용을 알리는 데 이용했다는 전언통신망은 학교끼리 유선으로 연락을 취하는 방식이다. 경주교육지원청 관계자에게 다시 확인하자 “지난해 9월 지진 때 피해를 본 몇몇 학교에만 연락해 의견을 물었다”고 말을 바꿨다. 기상청 시범 사업에 대해 제대로 전달조차 하지 않은 셈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학교 지진 조기경보시스템은 통신사 기지국을 거치는 긴급재난문자보다 더 빠르게 지진 사실을 알려준다. 12일 기상청이 진도 4 혹은 5 이상의 강진 발생 시 진앙과 가까운 지역에 5초 내 경보를 보내는 ‘실시간 경보 체제’를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혀 학교 지진 조기경보시스템의효과는 더 커질 전망이다.

경주교육지원청 측은 “이 시스템을 설치하면 대피에 효율적이긴 하겠지만 기상청에서 공문을 보내지 않고 전화로 문의한 데다 나름의 비상문자 발송 시스템이 있어 학교들에 적극적으로 권하지 않았다”며 “이제라도 적극적으로 조치하겠다”고 해명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경주·포항과 이웃한 울산은 좀 다른 대처를 보였다. 기상청은 8월 말 울산시교육청에 같은 사업을 제안했다. 시교육청은 학급 수와 위치를 기준으로 적합한 학교에 직접 전화해 의사를 묻고, 동의한 학교를 기상청에 추천했다.

12월 초 울산 5개 초등학교가 전국 최초로 지진 조기경보시스템을 구축했다. 울산 북구 중산초등학교, 남구 격동초등학교, 중구 태화초등학교, 동구 서부초등학교, 울주군 언양초등학교다. 중산초 관계자는 “35㎞ 안에서 규모 3.0 이상 지진이 발생하면 그 사실을 알려주고 대피를 안내하는 방송이 나온다”며 “안내 방송이 나오는 지진 규모는 학교에서 설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울산시교육청 안전과 담당자는 “지난해 9월 강진 이후 많은 학생과 학부모가 불안해했다”며 “시범 사업이지만 효과가 1%라도 있다면 (설치)하는 것이 낫다고 결정했다”고 말했다.

울산·경주=최은경 기자 chin1chu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