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통합 끝내 실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지난 8일 김영삼씨의 민주당총재직 사퇴로 고조됐던 야권통합협상이 결국 8일만에 사실상 원점으로 돌아갔다.
민주·평민양당은 16일 각각 정무회의와 당무위원·당무지도위원연석회의를 열고 서로 상대방이 통합의지가 없다고 야권통합 실패의 책임을 전가하는 방침을 정하고 민주당은 민정당과의 국회의원 선거법협상을 재개키로 했으며 평민당은 총선거체제로 전환키로 결정해 더 이상 야권통합 협상을 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평민당 탈당이 예상되는 이룡희·노승환 전 부총재 등 비호남지역 출신 의원들, 운동권신당창당에 참여할 홍사덕 의원을 제외한 서명파 무소속의원5명, 신민당 등 군소야당의원 및 재야인사일부를 영입하는 부분통합으로 제1야당위치를 굳혀나갈 전망이며 평민당도 재야인사일부를 더 영입하고 보다 진보적 정당으로 탈바꿈하는 체제정비를 단행해 나갈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정무회의를 열고 「선합동의원총회개최-원당론조정」 입장을 재확인하고 이날오후로 예정된 합동의총에 평민당측이 불참함에 따라 통합의사가 없는 것으로 최종 판단하고 평민당과의 당대당 통합노력을 중단하는 한편 민정당과의 선거법 협상을 재개키로 했다.
김태룡 대변인은 이와 관련, 『우리 당은 과거에 어떤 자리에 있었던지 불문하고 우리당의 이념과 뜻을 같이하는 모든 인사들에게 문을 열어 놓고 있다』고 말했으나 구체적 영입대상의 거명은 회피했다.
이날 정무회의는 민정당과의 선거법협상을 곧 재개해 절충을 벌이기로 했는데 김 대변인은 『17일부터 선거법협상을 재개해 당론에 따라 중선거구제를 최대한 반영토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평민당도 이날 오전당무위원· 당무지도위원연석회의를 열고 야권 통합문제를 논의, 민주당측이 소선거구제 단일안 마련에 대한 공동결의문채택의 의사가 없는 한일민주당측이 제안한 이날 오후의 합동의총참석은 의미가 없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이에 따라 평민당은 민주당 .측의 전면적 태도전환이 없는 한 양당통합대표합동회의도 이날로 중단한다는 내부방침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회의에서 일부 위원들은 합동의총이 일단 합의된 사항인 만큼 민주당 측에 구실을 주지 않기 위해서라도 의총에 참석해야한다는 반론을 제기했으나 대세에 밀려 결국 의총 불참쪽으로 결말지어졌다.
평민당은 민주당측이 협상기구 합의과정에서 소선거구제를 수용한다고 해놓고 이를 위한 공동결의 채택에는 거부의사를 보이는 것은 결국 소선거구제를 수용할 의사 없이 대평민당 화해를 위한 정치공세의 일환으로 야권통합논의를 전개하고 있다고 간주, 이 단계에서 통합논의를 끝내고 총선태세로 들어가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