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 재건 준비하는 시리아, 북한에도 러브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3월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동쪽 외곽의 반군 점령지 구타 지역에 포화로 심하게 부서진 건물들이 보인다. [AFP=연합뉴스]

지난 3월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동쪽 외곽의 반군 점령지 구타 지역에 포화로 심하게 부서진 건물들이 보인다. [AFP=연합뉴스]

7년 가까이 이어진 시리아 내전의 평화 협상이 다방면으로 추진되는 가운데 시리아가 전후 재건사업에 각국의 참여를 타진하고 나섰다. 바샤르 알 아사드 정부를 도와 이슬람국가(IS) 등 반군 격퇴에 앞장선 러시아를 비롯, 이란·중국 등이 우선 대상이다. 시리아는 또 오랜 우호관계인 북한과도 재건사업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220조원 규모 복구사업에 미국 등 서방은 배제 #아사드 정부군 지원한 러·이란 외 중국에도 러브콜 #북한에도 "지지에 감사" 재건사업 협력 논의 #유엔 대북제재 속 북한 외화벌이 창구될까 촉각

27일(현지시간) 시리아 국영 사나통신 등에 따르면 리마 알 카디리 시리아 사회노동장관은 지난 22일 다마스쿠스에서 장명호 북한대사를 만나 양자관계 발전과 재건사업 협력을 논의했다. 카드리 장관은 이 자리에서 시리아 정부를 지지해온 북한에 감사를 표하면서 재건사업에서 북한에 도움을 구한다고 말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장 대사는 이에 북한이 건설 등의 전문성으로 시리아 재건에 기여할 수 있을 거라고 화답했다. 장 대사는 지난 9월 사나 통신과 인터뷰 때도 "시리아와 개발 협력에 관심이 크다"고 밝힌 바 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왼쪽)과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중앙포토]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왼쪽)과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중앙포토]

2011년 3월 시작된 시리아 내전은 북부와 수도 인근 반군지역, 일부 IS 점령지를 제외하고는 소강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에 따라 서방과 러시아가 각각 주도하는 평화 협상이 속도를 내고 있다. 28일 시리아 반정부 진영이 참가한 가운데 8차 제네바 평화협상이 재개됐고 내달 2일 러시아 소치에선 러시아가 주도하는 ‘시리아 국민 대화 총회’도 예정돼 있다.

시리아는 내전 기간 45만여 명이 사망하고 난민 1200만명이 발생했을뿐 아니라 서부를 제외한 국토 대부분의 기간시설과 주택이 참혹하게 파괴됐다. 세계은행은 시리아 재건 비용이 2000억 달러(약 218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후 복구사업은 유엔 등 국제기구가 세계은행 등 국제기금의 도움을 받아 참여하지만 시리아는 내전에서 정부군을 지원해온 ‘우방’ 러시아와 이란 위주로 사업을 맡기고 있다. 지난 9월엔 이란과 전력망 복구사업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20일(현지시간) 러시아 소치를 깜짝 방문한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을 포옹하며 환대하고 있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 2011년 내전 발발 이래 아사드 대통령이 해외 방문한 것은 지난 2015년 모스크바 방문 이래 이번이 두번째다. [AP=연합뉴스]

20일(현지시간) 러시아 소치를 깜짝 방문한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을 포옹하며 환대하고 있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 2011년 내전 발발 이래 아사드 대통령이 해외 방문한 것은 지난 2015년 모스크바 방문 이래 이번이 두번째다. [AP=연합뉴스]

시리아는 중국에도 적극적인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26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주중 시리아 대사인 이마드 무스타파는 “(미국·터키 등) 전쟁 참여국이 아니라 러시아·중국·인도·이란 등이 복구 사업에 참여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은 시리아 정부에 대한 유엔 제재에 러시아와 함께 반대표를 던진 바 있다. 무스타파 대사는 “중국 기업들이 이미 큰 관심을 보이며 거의 매일 (대사관을) 방문 중”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도 지난 24일 부사이나 샤반 시리아 대통령 고문을 만난 자리에서 재건사업 협조를 약속했다고 SCMP는 전했다.

북한의 경우 시리아 재건사업에 관심을 가진다 해도 실제 참여가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지난 8월과 9월 유엔 안보리가 대북 제재에 북한노동자의 해외 활동 중단 등을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조봉현 IBK 경제연구소 부소장은 “북한의 목적은 결국 외화벌이인데 시리아가 국제사회 제재 부담을 안고 적극 협력하긴 힘들 것”이라면서도 “다만 러시아·중국 등을 통한 우회 협력의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봤다.

관련기사

북한은 시리아와 1970년대부터 긴밀한 군사교류를 해왔고 내전 발발 이후에도 시리아에 방독면·방화복 등 화학무기 관련 장비를 수송하다 적발되기도 했다. 김정은과 아사드의 친분도 돈독한 편으로 지난 4월 김정은의 노동당 제1비서 추대(4월 11일) 및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추대(4월 13일) 5주년을 맞아 아사드가 김정은에게 2건의 축전을 보냈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