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노인 관련 법안, 아동의 1/3…저상버스는 여전히 부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고령사회 진입 계기 노인 차별 기획 <상편>  

전남 고흥군 고흥읍에 장이 열린 날, 짐을 들고 지팡이를 짚은 할머니들이 읍내 정류장에서 버스를 탑승하고 있다. [중앙포토]

전남 고흥군 고흥읍에 장이 열린 날, 짐을 들고 지팡이를 짚은 할머니들이 읍내 정류장에서 버스를 탑승하고 있다. [중앙포토]

지난 20일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 앞 버스 정류장. 이재남(75) 할머니가 접이식 손수레에 장 본 물건을 가득 담고 버스를 기다렸다. 두 발은 인도 끄트머리에 간신히 걸친 채 버스가 들어오는 방향을 끊임없이 살폈다.

“버스가 올 때 바로 타려면 이렇게 기다려야지. 의자에 앉아 있다가 걸어가는 걸 기사들이 어디 기다려 주나요.”

노인차별 37.7% '대중교통 이용 시' #버스 계단 천천히 오르면 눈치보여 #"저상버스 편하지만 자주 안 와" #전국 저상버스 보급률 22.3% #12~16년 국토부 목표치 절반 수준 #법안 발의, 예산 배정에서도 뒷전 #19·20대 국회, 노인 관련 법안 242개 #아동 관련 법안은 697개로 3배 달해 #가결 법안은 아동 관련이 4배 많아 #올해 고령 관련 예산 14조원 #저출산 해소 예산은 24조원 #"노인=소멸하는 존재…관심도 낮아"

운 좋게 버스에 바로 탄다고 해도 짐을 들고 높은 계단을 오르기 쉽지 않다. 성큼성큼 올라타서 교통카드를 찍는 젊은이들과 달리 한 발씩 차례로 올리며 천천히 탑승한다. 손에 든 짐까지 있다면 기사들이 재촉하는 일이 종종 생긴다.

  2015년 노인실태조사(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노인 차별 3건 중 1건(37.7%)은 대중교통 이용 시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차별 사례다. 이 할머니는 “버스 기사나 승객에게 잔소리 듣는 건 이제 익숙해졌다. 계단이 없고 바닥이 낮은 버스(저상버스)는 그나마 오르기 편한데 자주 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이처럼 '이동권' 차별이 빈번한 데엔 저상버스 부족이 한 몫을 한다. 장애인·노인 등을 위한 저상버스 전국 도입률은 22.3%(지난해 말 기준)다. 버스 4대 중 1대도 되지 않는다. 2012~2016년 2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국토교통부)에서 세운 목표 41.5%에 한참 못 미친다. 저상버스가 없는 노선도 있다. 경사가 심한 지역에는 투입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2월 발표한 3차 계획의 저상버스 보급 목표치는 42%다. 2차 계획과 비교하면 사실상 제자리 걸음이다. 저상버스 도입으로 혜택을 받는 교통 약자 중 667만 명(51.2%)이 노인이다. 장애인(141만 명)보다 많다. 홍모(75) 씨는 “버스는 불편하고 택시는 비용이 부담돼서 보통 지하철을 타는데 역 오르내리기도 만만치 않다. 저상버스만 많아져도 이동이 훨씬 편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국회 법안 발의와 예산 배정에서도 노인은 뒷전이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0~14세 아동 인구를 추월했지만 법안 수는 이에 비례하지 않는다. 19대(2012~2016년)·20대(2016~2020년) 국회에서 발의된 노인 관련 법안은 총 242개(9월 기준)다. 같은 기간 아동 관련 법안은 697개가 발의됐다. 노인 관련 법안의 3배 가까이 된다. 가결된 법안 수도 노인 19개, 아동 76개로 정확히 4배 차이다.

여전한 노인 차별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서도 '고령사회'는 '저출산'에 밀리는 신세다. 올해 중앙정부가 배정한 고령사회 관련 예산은 약 14조원이다. 저출산 해소 예산(24조원)보다 10조원 가량 적다. 시행 과제는 고령사회가 99개로 저출산(89개)보다 많지만 예산은 60% 언저리다. 지난해 대비 예산 증가율도 저출산 분야는 12.5%(2조7000억원)인 반면 고령사회 분야는 3.1%(4000억원)에 불과하다.

  정경희 보건사회연구원 인구정책연구실장은 “아동은 성인이 돼서 사회의 생산인구로 들어가지만 노인은 소멸하는 존재로 여겨져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특별취재팀=신성식 복지전문기자, 이민영ㆍ정종훈ㆍ박정렬ㆍ백수진 기자 sssh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