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술 놀랍게 컸지만 세계 눈길 끄는 건 한국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상대 진학을 준비하던 청년이었다. 그런데 서울대에 고고인류학과가 생긴다는 소식을 들었다. "바로 이거다."새 학문을 개척한다는 기대감에 부풀었다. 1961년 신설된 서울대 고고인류학과(지금은 고고미술사학과와 인류학과로 분과)에 진학했다. 청년은 스승 김재원(1909~90.초대 국립중앙박물관장)의 권유로 미술사를 전공했다. 스승은 미국 유학(하버드대)까지 주선해줬다. 한국미술의 체계를 잡아보라는 취지였다.

공부는 힘들었다. 한국미술이 서구에 거의 소개되지 않았던 60년대 후반 미국에서 한국 회화를 연구한다는 건 말 그대로 암중모색. 하지만 포기하지 않았다. 조선 초기 한국 산수화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저서 28권(편저 포함), 논문 117편을 내놓으며 한국미술사의 기초를 다졌다. 홍익대(76~83), 서울대(83~2006)에서 후학들도 지도했다.

45년의 세월이 지났다. 안휘준(66) 교수가 28일 20여 년 몸담았던 서울대에서 정년 퇴직한다. 20일 저녁 서울의 한 음식점에서 만난 그는 '청년정신'을 강조했다.

"후생가외(後生可畏)라는 말이 있습니다. 후학들이 두렵다는 뜻이죠. 요즘 연구자들의 실력은 제 어릴 때와 비교할 수 없어요. 하지만 저는 후배들이 두렵기보다 사랑스럽게 느껴져요. 그들의 젊은 연구열이 좋습니다. 그래서 후생가애(後生可愛)라는 표현을 좋아합니다."

그는 현대미술에도 관심이 크다. 요즘에도 중요한 전시가 있으면 빼놓지 않고 간다. 전통회화를 연구한 학자답게 현대작가들이 갖춰야 할 첫째 조건으로 '한국성'을 들었다.

"한국 현대미술이 눈부시게 성장했지만 누가 봐도 한국 사람이 만들었다는 색채가 없으면 더 이상 클 수 없습니다. 국적불명의 미술로는 승부를 걸 수 없죠. 당연히 작가들도 공부를 많이 해야 합니다. 한국 사상.전통에 대한 학습이 필수적이죠. 그림은 손재주로 하는 게 아닙니다. 머리가 풍요로워야 좋은 작품이 나옵니다. 강세황.김정희 등 옛 화가들은 뛰어난 사상가였습니다. 그들은 '만 권의 책을 읽고 만 리의 길을 간다'(讀萬卷書 行萬里路)를 모토로 삼았습니다."

안 교수는 다음달부터 명지대 석좌교수로 새 출발을 한다. 서울 관악구청 옆 오피스텔에 개인 연구실도 차렸다. "그간 못했던 여행도 가고 싶지만 '한국미술사' '한국회화사' 영문판 준비에 시간이 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학문에는 정년이 없는 것 같다.

박정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