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당대회 설명위해 고위층 한국에 파견

중앙일보

입력

고고도 미사일 방어(THAADㆍ사드)체계 관련 갈등을 공동 결의문 발표로 ‘봉합’한 이후 한ㆍ중 양국이 양국 간 인적 교류가 되살아나고 있다.
중국 공산당은 제19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대표단을 한국에 파견할 방침이라고 베이징의 외교 소식통이 6일 말했다. 이 소식통은 “중국 공산당 차원에서 주요국을 대상으로 19차 당대회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대표단을 파견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한국에도 대표단이 방문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당 고위급 관계자가 연내 방한해 여야 대표들과 만날 계획”이라고 말했다. 중국 대표단의 방한이 성사되면 지난해 7월 사드 갈등이 본격화한 뒤 이뤄지는 첫 번째 중국 고위급 인사의 한국 방문이 될 것이라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중국 공산당이 사회주의권이 아닌 나라에 당 대회 사절단을 보내는 것은 이례적이다. 소식통은 "한국 뿐 아니라 세계 주역 국가에 지역별로 나눠 사절단을 보내는 것으로 안다"며 "한국에 오는 대표단은 일본, 몽골도 방문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별도로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이달 30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 공산당-세계 정당 고위급 회의’에 참석할 예정인 가운데 중국 대표단의 방한 일정까지 확정되면 양국 정당 간 교류도 더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

한중 간 사드 갈등이 봉합되면서 중국인 관광객 유입이 기대되고 있다. 최충일 기자

한중 간 사드 갈등이 봉합되면서 중국인 관광객 유입이 기대되고 있다. 최충일 기자

이밖에 실제 산둥(山東) 성 검찰원이 다음달 4∼7일 대구지방검찰청을 방문할 예정이고, 한국 대검찰청 대표단도 이달 중순 베이징(北京), 선양(瀋陽) 공안 당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또 사드 이후 연기돼 왔던 양국 어업 당국 간 회의도 해를 넘기기 전에 열릴 것으로 예상한다. 주중 대사관 관계자는 “사드로 중단됐던 회의나 교류 활동 가운데 중국 측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것은 부분적으로 재개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은 북한에 대해서도 당 대회 설명 사절단을 보낼 가능성이 크다. 전통적인 사회주의 국가의 당(黨)대 당 교류 관행에 따라서다. 다만 그 시기는 8일부터 10일까지로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중 이후가 될 것이라고 외교 소식통이 전망했다. 그는 “대북 압박 강화에 대한 중국의 동의를 받으려 할 것으로 예상되는 트럼프 방중 전에 북한에 사절을 보내는 것은 곤란하다는 게 중국의 판단”이라며 “베트남과 라오스에는 쑹타오(宋濤) 대외연락부장을 당대회 설명 사절로 파견했는데 이와 비슷한 수준의 고위급이 북한에 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yyjun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