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개천에서 용 안 난다'...계층 이동, 13년새 '반토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일자리 박람회 자료사진.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최승식 기자

일자리 박람회 자료사진.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최승식 기자

개인이 노력하면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고 이른바 '계층 이동'의 꿈을 실현할 수 있을까. 과거에는 가능했을지 모르지만 이제는 어렵다. 최근 13년 사이 계층 이동에 성공한 이들의 숫자가 2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개천에서 용이 나올 수 없는 구조'라는 뜻이다.

25일 재정학연구 최근호에 실린 서울대 경제학부 박사과정 오성재 씨와 같은 학부 주병기 교수의 '한국의 소득기회불평등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개인의 소득은 노력뿐 아니라 부모의 경제력·학력 등 사회경제적 환경, 선천적 재능, 우연적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

논문은 한국노동패널 1차(1998년)에서 18차(2015년) 자료를 바탕으로 1998년, 2003년, 2008년, 2014년 가구주 연령 30∼50대 가구의 가처분소득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사회·경제적 환경변수로는 가구주 부친의 교육수준과 직업을 놓고 봤다. 직업은 고숙련자(고위임직원·관리자·전문가 등), 중숙련자(사무·서비스·판매업 단순노무 종사자), 저숙련자(농림어업 종사자)로 나눴다.

그 결과 가구주 부친의 직업과 학력에 따라기회불평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조사 기간에서 고숙련 집단과 저숙련 집단 간 기회불평등이 나타났다. 특히, 기회불평등은 부모의 직업이 저숙련일 때 집중됐다.

논문은 자체 개발한 개천용불평등지수도 내놨는데, 이 지수가 1이면 최상위소득을 얻는 사람 중 최하위 환경을 가진 사람이 전혀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기회불평등이 가장 높다는 의미다.

조사 결과 자체 개발한 이 지수는 조사 기간 꾸준히 올라갔다. 특히 가구주 부친의 직업환경을 분석한 결과 기회불평등도는 2001년 10%대에서 2014년 40% 가까이 증가했다.

2001년에는 최저 환경에서 성공할 수 있는 10명 중 1∼2명이 성공하지 못했다면 2014년에는 4명 가까이 성공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논문은 "공교육 중심의 평준화된 교육체계와 빠른 경제 성장으로 1990년대 초까지 한국 소득불평등은 낮은 수준을 유지했고 세대 간 계층 상승 기회도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알려졌다"며 "하지만 높은 불평등과 양극화로 기회평등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크게 악화했고 자녀 교육을 통한 신분상승 희망도 사라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