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송호근 칼럼

불량 외교와 바늘구멍 찾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송호근 중앙일보 칼럼니스트·서울대 교수

송호근 중앙일보 칼럼니스트·서울대 교수

이 무더운 삼복더위에 600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 ‘군함도’. 이 영화에 자꾸 신경이 쓰이는 것은 광복절이 다가왔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몇 년 전 대학 동료들과 나섰던 역사탐방 길이 성난 파도에 막혔던 기억이 새로웠다. 하시마(端島)섬의 그 격랑(激浪)은 작은 연락선을 사정없이 강타했는데 해군 장교 출신 동료도 난간을 잡고 웅크렸다. 소낙비가 내리쳤다. 물줄기 사이로 중세 성벽처럼 솟은 군함도가 일렁였다. 당시 탈출을 감행하던 조선인 징용자를 수장시킨 그 물결이었다.

위안부문제·사드배치 졸속 합의는 #한중·한일 관계 엉망 만든 실패작 #불량외교 전말·책임소재 규명하고 #광복절의 인류사적 의미 되살려야

뱃길을 돌렸다. 귀항 길에 들른 다카시마(孤島)섬엔 미쓰비시 탄광 역사관이 있었다. 갱부 작업복과 굴착기, 개미굴 같은 해저 갱도와 장비들이 제국 일본의 자부심인 양 번쩍였고, 지상엔 미쓰비시 창업자 이와사키 야타로(岩崎彌太郞)의 동상이 섰다. 조선인 흔적은 지워졌다. 당시 나가사키 공장 지역에 끌려온 조선인 수는 약 2만 명, 다카시마와 하시마 탄광에만 약 4000명을 헤아렸다. 하시마에서 항쟁은 일어나지 않았다. 죽음의 노예노동을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폭이 끝장냈을 뿐이다. 영화 군함도처럼 일본군을 죽이고 석탄수송선에 올라탄 징용자들의 귀향 투쟁은 상상의 한풀이다. 해방 72주년, 우리는 아직 상상의 복수전을 끝내지 못했다. 잔혹한 식민의 기억은 이렇게도 아프다.

난징 대학살 기념관, 일본도(刀)에 죽은 30만 명의 영혼을 기리는 곳이다. 중국 청년들은 한결같이 외쳤다. ‘인간은 용서하지만, 역사는 잊을 수 없다’고. 시진핑 주석이 한 말이었다. 과연 인간을 용서했을까? 아니다. 요즘 시진핑 주석의 언행을 보면, 20세기 중국의 치욕에 대한 한(恨)이 읽힌다. 역사의 상처와 학살 기억을 한꺼번에 치유하려는 패권적 발상에 오기가 서렸다. 일본엔 그렇다 치더라도, 피해자 한국을 저리 사납게 내치는 것은 중화문명의 도(道)가 아니다. 시진핑의 군사력 대행진에 현대차·아모레화장품·롯데마트가 짓밟히고, 한류가 쫓겨났다. 한·중 관계는 1992년 수교 이전의 냉랭한 상태로 돌아갔다.

예정된 코스가 앞당겨졌을 뿐이라는 진단에 수긍이 가지만, 외교는 작고 사소한 불씨가 결정적이다. 박근혜가 단독 감행한 사드 배치가 화근이었다. 사전 양해가 있었다면 문풍지 바늘구멍에 스미는 한 가닥 햇살 같은 출구가 가능했을지 모른다. 사후라도 특사를 보내 달랬어야 했다. 대인기피증이 심한 박근혜의 외톨이 외교에 뒤통수를 세게 맞았다.

한·일 관계가 엉킨 것도 그렇다. G20 정상회의에서 아베 총리를 싸늘하게 외면하던 박근혜의 심중에 어떤 괜찮은 복안이 있는 줄 알았다. 그런데 웬걸 ‘위안부 합의’란 걸 뚝딱 내놓았다. 대가는 단돈 10억 엔. 지금 복기해보면, 최순실과의 야밤 대화가 그대로 정치언술에 출현하던 시기였다. ‘동 문제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될 것임을 확인’한다는 합의문 구절에 이르러서는 기가 막힐 노릇이었다. 사드 배치와 위안부 합의가 예고 없이 급작스레 이뤄진 ‘급(急)결재’의 전말과 책임소재는 반드시 밝혀내야 한다. 한·일, 한·중 관계를 엉망으로 만든 불량 통치다. 국부 손실은 천문학적이고, 외교적 낭패는 역대급이다.

되돌릴 수는 없지만, ‘느닷없는 회군’의 사정을 한국인조차 납득하지 못한다는 사정을 중국과 일본에 알려줘야 한다. 그 불량 통치 당사자는 탄핵 심판을 받아 감옥에 갇혔다고. 일본 지식인들은 65년 한일협정과 66년 대일청구권 자금으로 피해보상이 일괄 타결되었다고 믿는다. 일반 시민들은 국가 간 약속을 자꾸 번복하는 한국에 피로감을 느낀다. 한마디로 피곤한 한국인이라는 정서가 강하다. 중국의 분위기도 비슷하다. 미국의 강수를 한국이 어떻게 거부할까, 사드 갈등을 ‘미·중(美·中) 문제’로 규정하는 소수 지식인의 목소리는 ‘줏대 없는 얄팍한 민족’이란 대중 욕설에 묻혔다. 북한은 기세등등, 반미 미사일놀이로 날이 샌다. 영화 군함도의 상상적 한풀이가 8·15 광복의 인류사적 의미를 되살리지는 못한다. 광복(光復), ‘다시 빛 속으로’는 가해자의 치졸한 변명을 문명적 대의로 부끄럽게 만드는 일이었다. 원폭 피해의식을 앞세워 가해의 역사를 지워버린 일본에는 피해보상보다 한 수 위의 대일외교를 구상해야 했다. 패권주의로 치닫는 중국몽은 일본보다 더 잔혹한 가해자를 예고한다는 것을 피해자 한국이 알려줘야 한다. 일본과 중국에 끼어 쩔쩔매는 한국, 트럼프의 전쟁불사론, 역대급 외교 낭패다. 불량 외교의 전말과 책임소재를 밝혀야 바늘구멍을 찾는다. 올해 광복절의 최대 현안이다. 그럴 걸 예견했는가. 군함도의 마지막 장면, 탈출하는 석탄수송선에서 원폭 버섯구름을 바라보는 어린 소희의 표정은 난감했다.

송호근 본사 칼럼니스트·서울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