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NSC 상임위 소집 지시…G20 앞둔 도발에 '당혹'

중앙일보

입력

문재인 대통령은 4일 오전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으로부터 실시간 보고를 받은 뒤 즉시 NSC(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소집을 지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8일 오후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소집해 직접 회의를 주재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8일 오후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소집해 직접 회의를 주재했다.

정의용 실장 주재의 상임위는 11시30분부터 긴급소집된다.

靑 "일단 NSC 상임위 소집"…상황 따라 전체회의 가능 #한미 정상회담 후 G20 앞둔 시점에서의 '도발'에 당혹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일단 전체회의가 아닌 상임위가 소집됐다. ‘일단’ 상임위부터 소집한 개념”이라며, 상황에 따라 문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는 NSC 전체회의로 대응을 확대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또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일단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의 정확한 성격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회의 소집 전까지 문 대통령이 실시간으로 보고를 받고 긴급 회의를 소집한 상태"라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8일 북한이 순항미사일을 발사했을 당시 직접 NSC전체회의를 주재한 적이 있다. 전체회의에는 문 대통령을 비롯해 국무총리, 관계부처 장관, 국정원장 등이 참석한다.

문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문제 해결’에 대한 미국의 지지를 이끌어낸 상태다. 북한의 추가도발 중단을 전제로 대화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지만, 한ㆍ미 정상회담 직후 북한이 추가 도발을 감행하면서 청와대의 ‘스텝’이 꼬일 가능성이 커졌다.

문 대통령은 특히 독일 메르켈 총리와의 정상회담 이후 ‘대북 대화’에 방점을 둔 ‘베를린 선언’을 준비하고 있었던만큼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를 앞두고 대북 메시지의 수정 가능성도 생겼다. 문 대통령은 G20정상회의 기간 한ㆍ미ㆍ일 정상만찬을 비롯해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요국 정상들과의 정상회담 등을 추진하고 있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