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증거조작은 이유미 단독범행"..."안철수는 몰랐다"

중앙일보

입력

국민의당이 문재인 대통령의 아들 준용씨의 특혜 채용 의혹 증거 조작 사건을 이유미(38ㆍ구속)씨의 단독범행으로 결론내렸다.

제보 보작 혐의를 받는 이유미 당원(왼쪽)과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 [연합뉴스]

제보 보작 혐의를 받는 이유미 당원(왼쪽)과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 [연합뉴스]

 국민의당 진상조사단장인 김관영 의원은 3일 “당의 직접적인 개입이 있었는지에 관한 종합 결론은 이씨의 단독범행”이라며 “안철수 전 대표가 이 사건에 관여했거나 인지했거나 조작된 사실을 보여줄 어떤 증거나 진술도 발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진상조사단의 조사과정에서 “이 사건을 매우 엄중하게 받아들이고 있고, 국민과 당에 정말 죄송한 일이 발생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안철수, 조작 사실 언제 알았나=진상조사단에 따르면 국민의당이 조작사실을 최초로 인지한 건 지난달 24일이다. 김 의원은 “검찰의 출석요구가 오자 이씨가 자신의 증거 조작이 드러날 것을 두려워 한 상황에서 조작 사실을 24일을 전후해 이용주 의원 등에게 털어놨다”고 말했다. 이용주 의원은 해당 사실을 25일 오전 9시47분 안 전 대표에게 전화 상으로 보고한다. 안 전 대표가 증거조작 사실을 최초로 인지한 것도 이 시점이다. 진상조사단은 안 전 대표는 해당 브리핑이 있던 시기를 전후로 해 이준서 전 최고위원이나 이씨와 연락을 주고 받은 것도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관영 ‘문준용 특혜채용 증거조작 사건’ 진상조사단장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민의당 대표실에서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김관영 ‘문준용 특혜채용 증거조작 사건’ 진상조사단장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민의당 대표실에서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다만 이씨는 지난달 25일 있었던 이용주 의원 등과의 면담에서 “이 전 최고의원의 거듭된 자료 요구 압박에 못 이겨 증거를 조작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했다. 하지만 이씨는 “이 전 최고위원이 직간접적으로 조작을 지시했냐”는 질문에는 “그런 부분은 없다”고 답했다는게 국민의당의 설명이다.
 ◇이씨는 안철수 측근인가=이씨와 안 전 대표의 관계도 논란이 됐다. 이씨는 안 전 대표의 카이스트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제자인데다, 선거 캠프에서도 활동했다. 이씨가 검찰 소환 조사 전인 25일 안 전 대표에게 “이 일로 구속까지 된다고 하니 정말 미치도록 두렵다”는 문자를 보낸 것도 의문을 증폭시켰다.
하지만 진상조사단은 안 전 대표와 이씨가 별다른 친분이 없는 것으로 결론냈다. 이씨가 지난해 3월과 올해 2월 각각 한차례씩 안 전 대표에게 문자를 보냈지만 안 전 대표는 답장도 보내지 않았다고 한다. 안 전 대표는 지난 25일에도 휴대폰 알림을 통해 이씨로부터 문자가 온 사실을 알았지만 바로 확인하지 않고, 이 의원으로부터 조작사실을 보고 받은 후 확인했다고 진술했다.
 ◇검증은 ‘총체적 부실’=국민의당 공명선거추진단이 해당 제보에 대한 최소한의 검증은 했다는 게 진상조사단의 설명이다. 브리핑 하루전인 4일 모여 ^카카오톡 대화에 등장하는 사람들이 실제 파슨스 스쿨 출신이라는 점 ^제보자의 이메일 주소가 실제 파슨스 졸업생인 김모씨의 이메일 주소와 일치한다는 점 등을 확인했다고 한다. 다만 파슨스 스쿨 출신이라는 사실 등은 모두 인터넷 검색과 페이스북 프로필 등을 통해 확인했고, 학교 재학 시기 등은 별도로 확인하지 않았다.

 ◇안철수 직접 입여나=안 전 대표는 이번 사태에 대해 침묵을 지켜왔다. “국민과 당에 죄송한 일이 발생했다”는 취지의 입장도 진상조사단을 통해 간접적으로 나왔다. 현재 안 전 대표는 자택을 떠나 서울 모처에 머무르고 있다고 한다. 안 전 대표의 측근들은 안 전 대표의 직접적인 입장 표명은 당분간 없을 것이라고 전하고 있다.
 국민의당은 진상조사단 발표를 끝으로 당 차원의 대응은 자제하기로 했다. 박주선 비대위원장은 이날 당회의에서 “진실은 검찰 수사 결과에 맡기고 국민의당은 야당으로서의 소임과 책임을 다 하는 데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진상조사단의 발표에 대해 황주홍 의원이 “당은 수사기관이 아니어서 자체 진상조사라는 게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는 등 당내 분란의 소지는 남아있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