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월평균 소득 329만원…남녀차 1.7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329만원, 중위소득은 241만원으로 나타났다. 남녀의 평균소득 차이는 154만원, 대기업과 소기업의 차이는 194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2일 통계청은 1500만개 일자리에 대한 세전소득을 분석한 ‘임금근로 일자리별 소득 분포 분석’ 자료(이하 2015년 기준)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건강보험, 국민연금, 공무원·군인연금 등 직역연금에 가입한 임금근로자의 2015년 기준 월평균 소득(세전)은 329만원이었다. 이들을 한 줄로 늘어세웠을 때 가장 가운데 있는 사람의 소득을 의미하는 중위소득은 241만원으로 조사됐다.

소득구간별로 보면 150만원 이상 250만원 미만이 28.4%로 가장 비중이 컸다. 이어 85만원 이상 150만원 미만이 19.4%, 250만원 이상 350만원 미만이 16.6%로 나타났다. 85만원 미만은 4.0%였으며, 650만원 이상은 8.6%에 달해 대조를 이뤘다.

이 수치로만 보면 우리 사회의 빈부 격차가 그렇게 심각하지는 않아 보이지만 사회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취약근로계층은 통계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측면에서 실제 저임금 근로자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평균소득은 390만원, 중위소득은 300만원이다. 여자는 각각 236만원, 179만원이다. 소득구간 분포를 보면 350만원 이상을 받는 남자는 전체의 41.4%를 차지하지만, 여자는 16.8%에 그쳤다.

청년층이 은퇴한 노년층보다 평균 월급이 더 적었다. 연령별 평균 월급은 50대(386만원), 40대(383만원), 30대(319만원), 60세 이상(256만원), 29세 이하(215만원) 순이었다.

산업별로 보면 금융 및 보험업의 평균소득이 578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전기·가스·증기·수도사업이 546만원으로 그 다음을,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이 427만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숙박 및 음식점업이 173만원으로 가장 낮았고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은 199만원,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228만원,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은 238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건강보험(직장), 국민연금(사업장), 직역연금(공무원·군인·사학·별정 우체국연금)에 가입한 임금 근로자만을 대상으로 했다. 일용근로자, 특수형태 종사자, 건강보험·국민연금에 가입하지 않은 취약근로자, 비임금 근로자(자영업자 포함)는 제외됐다. 통계 자료는 2015년 기준 일자리행정 통계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