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문재인 파워엘리트] SKY 출신 41.7%→67.3%…‘뺑뺑이 효과’ 명문고 급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정부에서도 파워 엘리트의 핵심은 이른바 ‘스카이(SKY)’로 불리는 서울대ㆍ고려대ㆍ연세대 졸업생이었다.

14일 현재 임명되거나 지명된 55명의 차관급 이상 인사 중 43.6%가 서울대를 졸업했다. 이명박 정부(53명 26명, 49.1%)와 노무현 정부(66명 35명, 53%)의 초대 내각 및 청와대 구성에 비해선 비율이 줄었지만 박근혜 정부(72명 중 26명, 36.1%)의 출발기에 비해선 늘었다.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졸업생을 합한 숫자는 37명(67.3%)에 달했다. 비율은 이명박(68%)ㆍ노무현(66.7%) 정부 때와는 비슷하고, 박근혜(41.7%) 정부와 비교하면 25.6%포인트 높아졌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휘장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휘장

박근혜 정부의 경우 성균관대 출신과 고시 합격자, 경기고 졸업생이 고위직에 많아 이른바 ‘성시경’ 정부로 불렸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 때 9명에 달했던 성균관대 출신은 이번 정부에선 현재까지 3명만 기용됐다.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김장수, 27기)과 경호실장(박흥렬, 28기), 국방부 장관(김관진, 28기)과 국가정보원장(남재준, 25기), 국가보훈처장(박승춘, 27기)까지 5명이 육군사관학교 출신이었던 전임 정부와 달리 이번 정부에선 이상철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 혼자만 육사(38기)를 나온 것도 상대적으로 SKY의 비율을 올라가게 했다.

박근혜 정부에서 1명(류길재 전 통일부 장관)에 그쳤던 고려대 출신은 8명으로 크게 늘었다. 연세대(5명), 성균관대(3명), 건국대ㆍ이화여대ㆍ한양대(이상 각 2명)가 뒤를 이었다. 단일 학과로만 보면 서울대 법학과(7명)와 서울대 경제학과(4명), 서울대 외교학과(3명)와 연세대 정치외교학과(3명)가 두드러졌다. 연세대 정외과 교수 출신인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까지 포함하면 이른바 ‘연정 라인’은 문재인 정부에서 꽤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평가다.

문재인 정부 파워엘리트 55명 분석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문재인 정부 파워엘리트 55명 분석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출신 고등학교를 기준으로 봤을 때 경기고ㆍ서울고 등 비평준화 시대의 전통 명문고 출신이 급감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김영삼(9명)ㆍ김대중(10명)ㆍ노무현(6명)ㆍ이명박(8명)ㆍ박근혜(9명) 정부에 이르기까지 매번 가장 많은 파워 엘리트를 배출했던 경기고는 문재인 정부에선 현재까지 단 한 명(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만 발탁됐다. 김영삼(6명)ㆍ김대중(2명)ㆍ노무현(6명)ㆍ이명박(6명)ㆍ박근혜(7명) 정부에서 경기고와 수위를 다퉜던 서울고도 이번에는 2명(서훈 국가정보원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으로 줄었다.

 경기·서울고 출신이 급감한 건 1974년 서울 지역에서 먼저 도입된 고교평준화 효과가 43년 만에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문재인 정부 파워 엘리트의 평균 나이는 58.2세로, 평준화 첫 대상인 1958년생과 비슷하다. 이른바 ‘뺑뺑이’(평준화) 세대가 주류로 진입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번 정부에서 가장 많은 파워엘리트를 배출한 학교가 3명을 배출한 광주일고와 경북고였다. 뒤이어 동성고ㆍ서울고ㆍ영등포고ㆍ이화여고ㆍ전주고ㆍ중경고ㆍ휘문고가 각각 2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문 대통령이 졸업한 경남고와 경희대 출신의 차관급 이상 인사는 아직까지 한 명도 없다.

허진 기자 b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