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현장에서] 탈당파는 알까, 바른정당에 후원금 쏟아지는 이유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2일 오전 10시 국회 정론관 기자회견장 출입구에 선 의원들의 표정은 굳어 있었다. 바른정당을 탈당해 자유한국당으로 돌아가겠다는 선언을 방금 마친 이들에게 기자들이 물었다.

▶기자=“자유한국당에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해 입장이 다른 의원이 많다.”
▶황영철 의원=“우리가 지금까지 결정하고 행동한 소신에는 변함이 없다. 그러나 이 시점에는 보수 대통합이 지역의 많은 보수 지지자들의 요구다.”
▶기자=“(새누리당을) 탈당할 때와 지금이랑 상황이 달라진 게 뭔가.”
▶김성태 의원=“자, 그만 하시죠.”

대답하기 곤란한 질문이 쏟아져서였을까. 김성태ㆍ황영철ㆍ이군현 의원 등은 수많은 취재진을 뒤로 하고 서둘러 자리를 떴다.

바른정당 중앙당 창당대회가 열린 지난 1월 24일 바른정당 지도부가 무릎을 꿇고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중앙포토]

바른정당 중앙당 창당대회가 열린 지난 1월 24일 바른정당 지도부가 무릎을 꿇고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중앙포토]

바른정당 의원 12명은 이렇게 집단 탈당했다. 지난 1월 24일 창당한 뒤 99일 만이다. 지난달 28일 먼저 당을 나선 이은재 의원까지 합하면 바른정당 의원 13명이 ‘보수 대통합’을 명분으로 당을 떠났다. 유승민 후보에 대해선 “함께 생사고락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가진 사람인지 의구심이 든다”(장제원 의원)는 말도 했다. 익명을 원한 다른 의원이 밝힌대로 “유 후보는 당선 가능성은 없으면서 자기만 살자고 완주 고집만 피운다”는 게 이들의 솔직한 마음일 게다.

사실 바른정당 경선 과정에서 ‘보수 후보 단일화’ 주장을 먼저 꺼낸 사람이 유 후보였으니 “이들의 주장이 100% 틀렸다”고 잘라 말하기도 어려운 측면은 있다.

그렇지만 바른정당 탈당파의 주축이 지난해 탄핵 국면에서 일약 ‘청문회 스타’로 떠올랐던 의원들이라는 건 아이러니다. 이들은 누구보다도 '친박 패권'에 분노했고, 박근혜 전 대통령과 선을 긋지 못하는 새누리당(자유한국당 전신) 친박계를 ‘폐족(廢族)’이라 불렀다.  지난해 12월 9일 탄핵안 가결 직후 김성태 의원은 “새누리당은 역사의 죄인으로서 완전히 소멸돼야 한다. 새누리당을 해체하는 투쟁에 돌입할 것”이라는 보도자료까지 배포했다.

정치부 허진 기자

정치부 허진 기자

그들이 뱉어냈던 수많은 다짐과 약속들이 귀에 또렷한데도 이들이 '바른정당 탈당의 변'이라며 내민 A4용지 두 장짜리 ‘보수 단일화를 통한 정권 창출을 위해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엔 국민에 대한 ‘사과’ 나 ‘죄송’이란 표현은 찾을 길이 없었다. 대신 “그간 많은 노력을 했다”는 표현이 들어갔다.

 탈당 선언 이후 이들의 체면은 더 구겨졌다. 예상을 뛰어넘는 비판 여론에다 자유한국당의 친박계로부터는 “일괄 복당은 안 된다”며 역공까지 쏟아졌다. 결국 불과 하루 만에 탈당을 번복한 황영철 의원은 '하루 만에 번복할 일을 왜 했느냐'는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창당 때부터 바른정당의 순수성을 의심하는 이들이 적지 않았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을 대선 후보로 모시기 위한 당'이란 인식이 퍼져 있었다. 반 전 총장의 낙마 뒤 바른정당 의원들 중 상당수는 최근까지도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지지를 고민한 게 사실이다. 대선을 일주일 앞두고 스스로 뽑은 후보 대신 다른 정당 후보를 지지한 데 대해선 “정당 역사에 새 장을 열었다”, “이들은 애초부터 ‘바른정당’이 아닌 ‘양지바른 정당’을 지향했다”는 냉소적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3일로 창당 100일을 맞은 바른정당은 집단 탈당 이후 역설적으로 당원 등록과 후원금이 쇄도하고 있다고 한다. 유승민 후보 개인에 대한 지지와 동정의 의미도 있겠지만 ‘가짜 바른정치’가 아닌 ‘진짜 바른정치’에 대한 열망이 분출하는 것으로도 봐야 할 듯 싶다.

정치부 허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