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팩트체크] "모 업체 실시 4월 여론조사, 표본에 문제" 주장 살펴보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9~10일새 발표된 7건 중 2건의 대선후보 여론조사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한 가운데 한 여론조사 업체가 실시한 조사의 표본에 의혹을 제기하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1, 2위간 격차가 점차 좁혀지거나 순위가 뒤바뀌는 등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각 후보들의 지지층 사이에선 이런 의혹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업체측 "효율성·신뢰도 높이기 위한 새 시스템 도입…왜곡 없어"

김재광 아이오와주립대 통계학과 부교수는 10일 "KBS-연합뉴스 여론조사 유감"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표본 추출 과정에 대한 의혹을 제기했다. 여론조사업체 코리아리서치는 KBS와 연합뉴스의 의뢰로 대선후보 여론조사를 실시해 9일 발표한 바 있다. 김 교수는 "표본크기도 2천명이고 유선전화 비율이 40%, 응답률도 15% 정도 되니까 표면상으로는 아무 문제가 없어 보이는 정상적인 여론조사처럼 보인다"면서도 "좀 더 자세히 보면 좀 이상한 결과를 발견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3월 조사에서는 유선 10만여명, 무선 12만여명의 대규모를 접촉하는데 4월 조사에서는 유무선 각각 3만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접촉을 시도한 수는 급격히 줄었는데, 응답한 사람(표본)은 거의 동일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샘플링이 심각하게 왜곡됐다는 결정적 증거"라며 "합리적 의심을 해보지 않을 수 없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선거관리위원회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를 통해 자세한 수치를 확인한 결과, 이 업체가 조사를 실시한 표본의 수는 2월부터 4월까지 2000명 수준으로 동일하다. 응답률도 소폭 변화가 있으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2~4월, 이 업체의 조사자 접촉시도 건수는 조사에 따라 상이했다. 전문가들은 전체 접촉시도 건수가 직접적으로 조사의 신뢰도와 직결되는 부분은 아니라고 지적한다. 실제, 2월(유선 7만 9212건, 무선 8만 8375건)과 3월(유선 10만 6793건, 무선 9만 753건), 4월(유선 1만 1402건, 무선 1만 2625건) 접촉건수는 모두 다르지만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 p.로 동일하다.

여론조사 응답률의 경우, 접촉 후 응답완료 사례수와 접촉 후 거절 및 중도이탈 사례수로 결정된다. 접촉 자체가 이뤄지지 않은 비적격 사례나 접속실패 사례는 응답률 계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다. 여론조사 업체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무작위로 생선된 번호를 사용한다. 표본의 구성 과정에서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방법을 RDD(Random Digit Dialing)라고 부른다. 지역번호와 국번을 제외한 나머지 4자리 번호를 컴퓨터로 자동 추출하는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과 일본 등 세계적으로 활용되는 방법이다.

그만큼 결번·사업체번호·팩스 등 전화통화가 불가능한 번호로 통화를 시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례들을 '비적격 사례'라고 일컫는다. 또, 전화통화가 가능한 번호라 할지라도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인 이유로 통화가 안 되는 경우를 '접촉실패 사례'라고 부른다. 이 두 가지 경우는 응답률을 계산할 때 고려되지 않는다.

김 교수를 비롯한 통계 전문가들은 이러한 접촉 현황의 비율이 의혹의 단초를 제공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2월과 3월 여론조사에서 접촉시도 횟수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비적격 사례와 접촉실패 사례가 4월 조사에서 극적으로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특히, 전체 접촉시도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던 비적격 사례(결번·사업체번호·팩스·대상지역 아님·할당초과 등)가 20%대로 줄어들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통계 전문가는 "업체가 동일한 RDD를 사용해 무작위로 전화를 걸었다면 비율이 유사하게 나와야 한다"며 "비적격 사례수가 두드러지게 차이나는 만큼 검토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 전문가는 "설계가 달랐거나 지난 여론조사와는 다른 상황이 있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화 여론조사 과정에서 RDD 방식을 활용하는 주요 여론조사 업체 두 곳과의 비교 결과, 비적격 사례 비율의 변화는 마찬가지로 두드러졌다.

조사 시기에 따라 비적격 사례의 비율은 소폭 늘거나 줄었으나 코리아리서치의 경우 유선전화와 무선전화 모두에서 2, 3월 대비 4월의 비적격 사례 비율이 급격히 떨어졌다.

이에 대해 코리아리서치 측은 4월달 조사 방식에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코리아리서치 관계자는 과거 조사 대비 전체 접촉시도 건수가 줄어든 것과 관련해 "유효한 전화번호의 경우 전화를 받지 않으면 콜백을 3회까지 실시했다"며 "그로인해 사용한 전화번호 갯수 자체가 줄어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비적격 사례의 비율이 급감한 것에 대해선 "과거 조사에서 활용하지 않던 유효성 검증 시스템(결번을 걸러내는 시스템)을 도입했다"며 "향후 조사에서도 지속적으로 이 시스템을 사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전문가들의 조언을 반영해 재통화 ·콜백과 유효성 검증 시스템 등을 활용했는데 의도치 않게 오해를 받게 됐다"며 여론조사 과정과 결과의 신뢰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박상욱 기자 park.lepremi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