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대사, 격에도 안맞는 '황대행 만남' 신청...정부 "누구 맘대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 소녀상 설치에 반발해 귀국했던 나가미네 야스마사(長嶺安政) 주한 일본 대사가 한국으로 돌아오자마자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면담을 신청했다. 일본 측이 격에도 맞지 않는 나가미네 대사와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만남을 고집하면서 한·일 간 갈등은 계속될 조짐이다.

원래 상대는 차관...주재국 원수 만나 '압박' 메시지에 "부적절" 비판 #정부 "만나주고 말고 우리가 결정" 외교가선 "국내 우익 등 의식한 태도"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가 4일 오후 김포공항을 통해 귀임했다. 장진영 기자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가 4일 오후 김포공항을 통해 귀임했다. 장진영 기자

외교가 소식통은 5일 “나가미네 대사가 황 대행과 한민구 국방장관, 홍용표 통일장관과 만나길 원한다는 신청이 들어왔다”고 말했다. 황 대행 면담은 외교부를 통해, 국방·통일장관 면담은 주한 일본 대사관이 직접 신청했다고 한다. 85일만에 귀임해 곧바로 면담부터 추진하고 나선 것이다.
나가미네 대사는 전날 밤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황 대행 등 요인들을 만나 한·일 간 위안부 합의를 이행하라고 강하게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상은 3일 주한 일본 대사와 부산 총영사를 한국으로 돌려보내겠다고 발표하면서 “황 대행에게 직접 합의의 준수를 강하게 압박하고, 차기 정부에 계승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대사를 귀임시키고 직접 대통령 권한 대행에 강한 일본의 생각을 전하는 이런 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도 귀임 직전 나가미네 대사를 불러 “부산 소녀상 철거와 관련한 합의사항을 한국이 착실히 이행하도록 촉구하라”고 지시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보도했다. 이틀 새 황 대행에게 직접 소녀상 철거를 요구하겠다는 메시지가 세번이나 나온 셈이다.

주한 일본 대사가 주로 업무 협의를 하는 한국 측 카운터파트는 외교부 1차관이다. 나가미네 대사가 아베 총리의 친서 등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원칙적으로 황 대행을 만날 수는 있다. 하지만 대놓고 주재국 원수 대행을 압박하겠다는 태도는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강하게 촉구’, ‘압박’ 등의 표현을 공개적으로 주재국 지도자를 대상으로 쓰는 것 자체가 이례적이다.

이에 대해 정부 고위 당국자는 5일 “황 대행이 나가미네 대사를 만나주고 말고는 우리가 결정할 일”이라며 “아직 대응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도 4일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나가미네 대사와 외교부를 포함한 주요인사 면담과 관련해서는 일본 측의 공식 요청이 있을 경우에 우리가 자체적으로 판단해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사의 귀임과 관련해 사전에 일본과의 협의는 없었다”면서다. 객관적 사실을 발표한 것이지만, 사실 여기엔 “누구 마음대로 우리 지도자를 만나고 말고냐”라는 불쾌감이 깔려 있다고 복수의 정부 관계자들은 전했다.

임지를 세달 가까이 비우고선 돌아오자 마자 공격적 메시지를 내놓는 나가미네 대사에 대해 외교가에서도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외교가 소식통은 “일본이 처음부터 대사까지 불러들이는 ‘오버’를 했다가 국내에서 지지여론이 높은 걸 의식해 귀임 시기를 놓쳤고 공백이 장기화했다. 그 사이 한국에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조기 대선 레이스 돌입 등 급격한 상황 변동이 있었고 오히려 일본 측 스텝이 꼬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에 소녀상 관련 전향적 조치를 해서 대사를 돌려보낼 계기를 마련해달라고 요구하다 한국 정부가 들어주지 않자 사실상 빈손으로 돌려보낸 것인데, 그러면서도 일본 우익 등 국내 여론을 의식해 강경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의 대선 후보들이 하나같이 위안부 합의 파기를 요구하는 것을 의식한 조치란 해석도 나온다. 관련 사정에 밝은 정부 소식통은 “일본은 한국 차기 정부가 위안부 합의를 어떻게든 손을 댈 것이라고 생각해 선제적으로 공세적 태도를 취하는 측면도 있다”며 “이것이 어떤 결과로 이어지든 벌써부터 새 정부에서의 한일관계에 먹구름을 예고하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런 일본 측의 태도는 외교적 결례에 가깝지만, 리더십 공백 상태의 한국이 강대강으로 맞서긴 무리라는 관측도 있다. 북한의 추가도발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한·미·일 공조도 필요한 상황이다. 북한은 5일 오전 올 들어서만 네번째 탄도미사일 발사를 감행했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