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충전소] “누구든 유전정보 이유로 사람 차별해선 안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인간 유전체 검사·해석 대중화 시대의 그늘이 있다면, 바로 윤리 문제다. 한국은 의외로 일찍부터 관련 윤리 문제를 법의 테두리 안으로 들여놨다. 2005년 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그것이다. 서울대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사태 이후 만들어졌다.

황우석 사태 이후 생명윤리법 제정

이 법은 1조에 ‘인간과 인체 유래물 등을 연구하거나, 배아나 유전자 등을 취급할 때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하거나 인체에 위해(危害)를 끼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생명윤리 및 안전을 확보하고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명시했다. 대부분 줄기세포와 관련한 법 조항이지만 제6장을 유전자 치료 및 검사에 할애했다.

이에 따르면 누구든지 유전 정보를 이유로 교육·고용·승진·보험 등 사회활동에서 다른 사람을 차별해서는 안 된다. 또 다른 사람에게 유전자 검사를 받도록 강요하거나 유전자 검사의 결과를 제출하도록 강요해서도 안 된다. 유전자 치료는 유전 질환과 암·후천성면역결핍증 등 생명을 위협하거나 심각한 장애를 불러일으키는 질병의 치료를 위한 연구나, 현재 적용할 수 있는 치료법이 없을 경우 등에 국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서울대 의대 김주한 교수는 “유전자 분석과 치료에 관한 윤리규정과 법은 앞으로도 기술발전과 함께 계속 수정해 나가야 할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