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윤리 아쉬운 택시파업|양재찬 <사회부 기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LPG가격 인하로 택시 한대당 월평균 2만 8백 29원의 수입이 늘었다. 이를 모두 상여금 추가지급 등 운전기사 월급에 반영시키겠다.』
『택시 한대당 하루에 50리터 쓰는 걸로 계산해보면 수익증가액은 4만 1천 7백60원이다. 더 많이 돌려줘야 한다.』
『우리의 거듭되는 협상조건 제시에도 불구하고 「완전월급제 전면실시」라는 요구조건 외에는 아무런 대안을 제시하지 않은 노조측이 협상을 깨려는 트집을 잡고있다.』
『우리는 LPG값 인하에 따른 여건 변동에 따라 지난해보다 10%, 4월 임금협정때보다 5%인상선의 완전고정월급제를 주장하는 것이다. 그런데 사업조합측은 그 기본적인 원가계산에서조차 우리를 속이고 있다.』
뿌리 깊은 노사불신 속에서 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앉은 양측은 애당초 평행선을 달릴 수밖에 없었다.
노조측은 현금장사로 자금회전율이 어느 사업보다 좋은 택시운수업인데 사업조합측 얘기대로 택시 한 대당 월이익금이 7천 4원이라면 어째서 회사택시 1대에 1천6백만∼1천7백만원, 개인택시 1대에 2천만원이 넘는 프리미엄이 붙어 거래되느냐는 것이다. 한편 사업주들은 지금도 합승과 미터기 산업제외 주행 등으로 사납금을 겨우 메우는데 정액불입제를 폐지하고 수입에 관계없이 월급을 고정하면 어느 운전기사가 꾀 안 부리고 일하겠느냐는 주장이다.
가장 근본적인 불신관계 속에서 그 동안 10여차례 협상테이블에 앉았지만 양측은 시내버스의 경우와 같이「파업만은 막아야 된다」는 원칙조차 염두에 두지 않고 서로의 입장만을 고집, 결국 협상이 결렬됐다.
「시민의 발」이 되고서야 스스로의 존재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택시가 이를 스스로 포기하고서 과연 어느 길을 달릴 것인가.「공익사업자」와「공익사업종사자」에게 다시 한번 직업윤리와 긍지를 촉구하는 심정은 어느 한 두사람만의 것이 아니리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