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정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언젠가 미국의「케네디」대통령에게 한 기군가 물었다.
『당신의 문화정책은 무엇입니까? 정치, 외교정책은 뉴 프런티어이겠지만서도….』
그러나「케네디」는『아무 특별한 정책이 없는 것이 내 문화정책이다』고 대답했다.
문화란 것은 특별한 정책이 있어서 잘 되는것이 아니고 자유와 자율로 자라야 한다는 것을 꿰뚫는 말이다.
문화이론가「H·E·리드」도『정치혐오의 정치론』에서『문화란 위에서부터 밑을 향해 눌러서는 안된다. 그것은 밑에서부터 성해 오르는 것이라 할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적이 있다.
그래서 그런지 선진국들의 문화정책은 한결같이「정부의 입김을 최대한 배제하는 것」이 되고 있다.
미국에선 65년에 문예진흥원(NEA)이 설립되어 문화예술가들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그 단체는 지원만 할뿐 우리 문예진흥원과는 달리 정부의 간섭과 제약이 없다.
분야별 추천위원회는 민간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지원대상을 작품의 질과 지역을 배려하여 결정한다.
지원도 순전히 마음 놓고 작품에 몰두할수 있도록「시간을 사주는일 이란 뜻에 충실할뿐 작품의 완성을 강요하지는 않는다.
문화예술활동은 순수히 개인이나 집단의 자율로 움직인다.
프랑스의 문화가 자유의 산물이란 것은 너무 유명하다.
특히 81년에 들어선 사회당 정부는「여가의 민주화, 문화의 대중화」를 위해「자유」위에 다시 자금지원까지 쏟고 있다.
4년사이에 문화생 예산이 2배로 늘어나 85년엔 국가예산의 0·86%가 됐다.
경제난 속에서 정부가 긴축예산을 짜고 있지만 문화성만은 예외다.
그래서 파리의 주간지『르 포엥』은 『파리의 문화계는 지금 너무나 현란한 집중포격상태에 있다』고 거꾸로 개탄하고 있다. 대중적 문화 행사와 창작은 많아졌지만 진짜 예술가의 출현은 오히려 줄고 있다는 뜻이다.
우리 문화계도 이제 자율화 추세가 시작되었다.
간섭없는 문화정책도 좋고, 조건없는 예술지원증가도 기대되지만 그런 조건을 뛰어넘는 정말 훌륭한 인재들의 출현은 더욱 기대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