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AI가 이끄는 4차 산업혁명, 주도하지 않으면 뒤진다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513호 2 면

2017년은 인공지능(AI)의 대전환기가 될 전망이다. 새해 벽두에 들리는 소식부터 심상치 않다. 구글 딥마인드의 AI 바둑 프로그램인 알파고는 최근 한·중·일 3국의 랭킹 1위인 박정환·커제·이야마 유타 9단을 포함한 세계 최고수들에게 60전 전승을 거뒀다. 지난해 봄 프로기사 이세돌을 누른 뒤 진화에 진화를 거듭한 결과다.


AI는 딥러닝(심층학습) 능력을 바탕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스마트해지는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AI가 이끄는 ‘전환시대’는 경이적인 속도로 광범위한 분야에서 깊이 있는 변화를 이끌어낼 전망이다. 이미 구글·애플·IBM 등 AI를 선도하는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들은 앞다퉈 놀랄 만한 기술을 내놓고 있다. 5일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올해의 소비자가전전시회(CES)는 AI와 로봇이 이끄는 시대 변화의 ‘쇼 케이스’다. 지난해엔 자율주행기술이 붐을 이루는가 싶더니 올해는 이를 훌쩍 뛰어넘어 자동차가 인간과 교감하고 사물인터넷(IoT)과 연결되는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시대로 질주하고 있다. 생체인식시스템으로 운전자 표정과 목소리, 심박동과 혈압을 파악해 안전과 편리를 도모하는 도요타 콘셉트카 ‘아이(愛i)’에서 보듯 이제 AI와 자율주행차 분야 경쟁은 기술을 넘어 감성 분야로 경계를 확장하고 있다.


MS의 AI 소셜 챗봇 ‘조(Zo)’는 인간의 감정과 컨디션을 파악해 필요한 조언과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글이 지난해 11월 내놓은 AI 번역 서비스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딥러닝으로 문장 흐름과 맥락은 물론 뉘앙스까지 파악해 ‘헬로(Hello)’를 ‘안녕하세요’와 ‘여보세요’로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진화했다. 아마존을 비롯한 전자상거래는 이미 고객 관심사나 의향을 파악해 상품·서비스를 추천하는 AI가 주도한다.


AI는 글로벌 산업지도까지 바꾸고 있다. 인건비를 낮추려고 1993년 이후 중국·베트남 등으로 공장을 옮겼던 아디다스는 24년 만인 올해 다시 독일과 미국에서 운동화 생산을 재개한다. 독일 안스바흐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3D 프린팅과 로봇을 활용한 ‘스피드 팩토리’를 건설, 160명의 직원으로 연 50만 켤레의 신발을 제조하게 된다. 독일 암베르크의 지멘스 ‘스마트 팩토리’는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정의 75%를 로봇이 가동하는데 불량률이 0.001% 수준이다.


이렇듯 AI·로봇·사물인터넷·자율주행차·3D프린팅 등 첨단기술은 경제·산업 분야의 모든 기존 원칙을 허물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조하면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고 있다. 한국이 4차 산업혁명에서 살아남으려면 우선 기술격차 해소가 급선무다. 세계 최고 수준인 미국과 비교해서 한국의 AI 기술은 75%, 자율주행기술은 80~90%로 평가받는다. 이를 따라잡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도국가로 자리 잡는 것은 정부와 민간 모두의 시대적 사명이다. AI가 이끄는 4차 산업혁명은 너무도 초고속으로 진화하기 때문에 뒤지지 않으려면 주도하는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선 과감한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한 기술혁신의 고삐를 늦추지 않는 것은 물론 창의적 기술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규제완화와 제도적 지원도 함께 필요하다. 그뿐만 아니고 기술·법규·보험·관습 등의 표준과 제도 제정을 둘러싼 각국 간의 주도권 경쟁도 국가 생존 차원에서 면밀하게 대비해야 한다. 이는 대학과 연구소·기업뿐 아니라 정부와 국회까지 팔을 걷어붙여야 할 사안이다. 올해는 AI를 둘러싼 각국의 기술혁신과 상용화의 ‘진검승부’ 원년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4차 산업혁명에는 그림자도 있다. 대표적인 것이 고용 불안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앞으로 10년 안에 1575만 개의 일자리가 AI나 로봇으로 대체될 것이라는 전망을 최근 내놓았다. 이런 도도한 흐름은 누구도 비켜가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정부는 이러한 변화에 따른 사회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교육 시스템과 산업인력 양성 정책의 판부터 새롭게 짜야 한다. 일생에 걸쳐 새로운 업무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사회 교육 시스템도 다듬어야 한다. 무엇보다 AI가 과학기술이나 산업의 문제만이 아니라 교육·노동·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과감한 개혁이 필요한 범사회적 과제임을 인식해야 한다. 이는 대한민국이라는 공동체의 번영과 생존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국정 과제다.

Copyright by JoongAng Ilbo Co., Ltd. All Rights Reserved. RSS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