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박·비문에 친박까지 “분권형 개헌”…속내는 동상이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87년 체제의 수명이 다했다”고 하면서 촉발한 여권발 개헌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청와대가 “지금은 때가 아니다”고 단속하고 나섰지만 개헌론에 가세하는 의원은 점점 늘고 있다.

김무성·김종인·원혜영·정진석 등
친박·친문 빼고 여야 연대 구상
일부 친박 ‘반기문 대통령 - 친박 총리’
외치·내치 권력 분점 시나리오도
분권형 지지 62명, 세력화까지 먼길

주목할 대목은 ‘분권형 개헌론’이 여야 모두에게서 부상하고 있다는 점이다. 분권형 개헌은 대통령이 외교·통일·국방 등 외치(外治)를, 국회가 선출한 총리가 내치(內治)를 담당하는 이원집정부제와 여야 정당이 의석수대로 총리와 각 부처 장관을 나눠 맡는 독일식 내각제 2개 모델이 있다.

기사 이미지

정 원내대표가 꺼낸 개헌 모델도 분권형이다. 그는 13일 통화에서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 극복과 권력 분립을 위해 독일식 내각제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무성 전 대표도 “개헌으로 권력을 나눠 연정(聯政)의 시대로 가야 한다”고 가세했다. 야권에선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와 원혜영 의원, 정세균 국회의장 등이 분권형 개헌론자다.

범친노 중도 성향으로 분류되는 원혜영 의원은 “권력이 한 명에게 집중되는 대통령제로는 책임정치가 불가능하다”며 “정치세력과 집단이 책임정치를 하는 분권형 개헌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야와 출신 정파가 다양한 의원들이 분권형 개헌을 주장하는 바람에 ‘정계개편설’까지 나돌고 있다. 이미 김종인 전 대표는 “여야를 떠나 분권형 개헌을 위해 대통령 임기를 단축하겠다는 후보들이 모이자”며 ‘비(非)패권지대 개헌연대’ 카드를 던진 상태다. 여야의 주류 세력인 친박·친문 진영을 제외하고 김무성·남경필, 박원순·안희정·김부겸 등 비박·비문 주자들이 분권형 개헌을 고리로 묶어 제3지대에서 결집하자는 구상이다.

김무성 전 대표는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김종인 전 대표와 생각이 같다. 분권형 개헌에 동의하는 주자들에게 연대를 제안한다”고 화답했다.

여권 주류인 친박계 일부에서도 반기문 대통령-친박 총리가 권력을 분점한다는 시나리오에서 분권형 개헌 지지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반 총장에게 우호적인 김태흠 의원은 “북한과 대치하는 상황에서 순수 내각제로 한 번에 가는 것은 국민이 부담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통령과 총리가 외치와 내치를 나누는 이원집정부제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분권형 개헌론자들이 20대 국회에서 다수를 점유하지 못한 상황에서 개헌을 주도할 만큼 힘을 얻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중앙일보·한국정치학회가 지난 6월 실시한 의원 이념·정책성향 조사 결과 이원집정부제(36명)와 내각제(26명) 등 분권형 개헌을 바라는 의원(62명)은 대통령 4년 중임제 개헌파(134명)의 절반 정도였다.

분권형 개헌론이 서로 다른 속내의 동상이몽(同床異夢)에서 출발하다 보니 하나의 세력이 될 가능성이 작다는 주장도 강하다. 더민주의 한 의원은 “분권형 개헌론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문재인 전 더민주 대표를 견제하려는 의도”라며 “반대에 부딪힐 것”이라고 말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도 “여권발 개헌론은 친박 단독 집권이 어려워지니까 반기문 대통령-친박 총리를 노린 계산에서 나온 것”이라며 “개헌은 박근혜 대통령이 반대하고 있기에 실기했다”고 주장했다. 친박 주류인 최경환 의원도 최근 기자들과 만나 “개헌이 되면 좋겠지만 대통령을 하겠다는 사람들이 임기를 줄이는 데 동의하겠느냐”며 “대선후보들이 공약하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

정효식·이충형 기자 jjpo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