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후, 수억명 e메일 검열…개인 정보 빠져 나가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세계적인 인터넷 포털 야후가 지난해 미국 정보기관의 요청을 받고 수억 명의 e메일 계정을 검열했다고 로이터통신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야후는 미 연방수사국(FBI)과 국가안보국(NSA)의 요청에 따라 특정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비밀리에 특수 소프트웨어를 설치했고 이를 통해 이용자들의 e메일을 들여다 봤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제보자는 야후 전직 직원 3명이었다. 이들에 따르면 사실상 실시간으로 이용자의 e메일을 검열한 것이라고 로이터는 덧붙였다.

감시 전문가들은 “미국 인터넷 회사가 앞에선 이용자의 e메일 검열이 문제 있다는 식으로 떠들어놓고 뒤에선 미 정보기관의 요청에 순순히 응한 것을 보여준 첫 사례”라고 말했다.

로이터는 야후가 미 정보기관에 어떤 정보를 넘겼는지, 페이스북 등 다른 인터넷 회사에도 똑같은 요청을 했는지 등을 취재했지만 현 시점에선 확인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보도가 나온 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우리 회사선 검열이 없었다”고 즉각 부인했다. 구글 대변인은 “정보기관의 요청도 없었고, 있었다 해도 우리 대답은 ‘노(NO)’였을 것”이라고 했다. 마이크로소프트사 대변인도 “비밀리에 행하는 e메일 검열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로이터의 사실 확인에 야후 대변인은 “우리 회사는 미국 법을 준수했을 뿐”이라며 “더 이상의 확인은 어렵다”고 말했다. 미국 현행법은 국가 정보기관이 테러 예방 등 안보를 이유로 통신사ㆍ인터넷회사에 이용자의 개인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야후는 실시간으로, 대규모의 e메일 열람이 이뤄졌단 점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전직 정보기관 고위 관계자는 “과거에도 정보기관이 통신사 등에 일부 개인정보를 요청한 적은 있지만 드물었다”며 “이번처럼 특수 프로그램을 설치해 전방위로 개인정보를 수집했다는 데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baek.minj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