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카드뉴스] 조선의 샐러리맨을 궁핍에 몰아넣은 '전월세 대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Our History 페이스북에 잠깐 오셔서 '좋아요'를 꾸욱 눌러주세요!

https://www.facebook.com/ourhistoryO

[Story O] 경성 주거난/ 조선의 샐러리맨들을 궁핍에 몰아넣은 '전월세대란'

#1
각종 공장과 은행, 관청 등이 밀집했던
조선 제일의 도시, 경성(서울)
사진설명/ 영화 '암살'에서 그린 경성의 모습

#2
일제의 수탈로 퍽퍽했던
서민들의 삶을 더욱 꼬이게 만든 것은...
바로 ‘전월세 대란’
“전 경성의 주민이 불안정한 생활을 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1929년 11월 16일, 한 신문
사진설명/ 1930년대 서울 시가지

#3
1930년대 경성의 거주자는 70만명 이상
대부분의 조선인들은 살 곳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1935년 19.4%, 1938년 23%, 1940년 25%, 1944년 40%로 악화된 주거 부족율
사진설명/ 1930년대 종로 거리

#4
1938년 경성부 인구의 60%인 42만명이 자가(自家) 없이
집세를 내거나, 방 한 두칸을 빌려 사는 차가(借家) 거주자
사진설명/ 일제강점기 당시 운종가

#5
서민들을 더욱 힘들게 했던 건 그나마 안정적이던 '전세'를 구하기 힘들었던 것
대한제국기만 해도 집주인에게 돈을 빌려주고
이자 대신 3개월~1년간 해당 가옥에 사는 전세가 일반적이었지만

#6
1930년대 이후 물가가 상승하자
집주인들은 언제라도 임대차 계약을 파기하고
높은 집세를 부를 수 있는 월세를 선호하면서
임차료 폭등도 이어졌다.
사진섦여/ 남대문시장과 명동일대 [한국민속홍보센터]

#7
“물가가 앙등한다는 것을 핑계삼아 집세를 올려
하급 싸랄리맨(샐러리맨)을 궁핍한 구렁으로 노라너헛다.” - 1937년 5월 20일, 매일신보
조선인 급여 생활자들은 총수입의 20%를 집세로 지출해야 할 정도였다
사진설명/ 청계천 일대 (왼쪽만 사용)

#8
당시 주거난은 임대주택 건설에 소극적인

조선총독부의 '무능'과

물가상승이 겹쳤기 때문

사진설명/ 조선총독부 청사였던 중앙청

#9
70여년이 흐른

대한민국 서울은 어떻게 변했을까
사진설명/ x

#10
전국 주택 전세거래는 6만여건 감소한 반면
월세(반전세 포함) 거래는 20만건 이상 늘었고
자료: 최근 4년간(2011~2015년) 국토교통부
사진설명/ x

#11
2016년 5월 서울의 전월세거래량의 월세 비중은 45.3%로
3년 전의 33.3%에 비해 크게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진설명/ 2014년 8월 24일, 동탄2신도시 공공분야 아파트 견본주택에 몰린 사람들

#12
월세 강세현상의 원인은
저금리 시대 집주인들이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기 때문이라는 분석
사진설명/ 마포구 공덕동 공인중개사 사무소

#13
이르면 1~2년 안에 월세가 전세거래를 추월하는
'월세시대'가 온다는 전망도 있는데
사진설명/ 경기도 고양시의 아파트 공사현장

#14
정부는 공공임대주택 건설을 늘리는 등의 대책을 내놨지만
토지와 예산 부족문제로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
사진설명/ 서울 양천구의 한 임대주택

#15
“작금의 경성은 사글세집이 다 나가고 업서서 전세가 엇지나 빗싸전는지”
– 1937년 5월 20일, 매일신보
대한민국의 '전월세 대란'은 현재진행형이다.

취재·구성 이하경
디자인  박다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