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새누리당은 무리한 조기복당 시도 그만두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20대 국회 원 구성을 앞두고 새누리당에서 탈당파 의원들을 조기 복당시키려는 움직임이 끊이지 않고 있다. 강길부·장제원 의원 등 탈당파 7명 중 최소한 5명을 국회의장단 인선 마감일인 7일 이전 복당시켜 1석 차로 더불어민주당에 내준 원내 1당 지위를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친박계가 이런 주장에 가장 적극적이다. 이들은 더민주와 국민의당에 포위된 원내 구도를 유리하게 바꾸려면 조기복당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한다. 하지만 그 이면엔 새누리당이 하루라도 빨리 원내 1당으로 올라서야 관례상 1당에 주어져온 국회의장과 주요 상임위원장직을 차지할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는 게 중론이다.

4·13 총선 결과 더민주가 제1당에 오르고, 새누리당이 2당으로 내려앉은 건 민심의 준엄한 선택이다. 총선 뒤 두 달도 되지 않아 편법으로 순위를 뒤집으려는 건 민심을 정면으로 거스르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 총선 전 탈당파들을 공천 탈락시킬 당시 새누리당은 ‘의원직을 너무 오래 했다’ ‘정체성에 문제가 있다’ 같은 이유를 댔다. “탈당자가 당선돼도 복당은 없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런 말들을 번복하려면 공천 과정에서 빚어진 잘못을 솔직히 시인하고 사죄부터 해야 한다.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도 이런 비판을 의식했는지 1일 “원 구성 협상 전 복당은 없다”고 천명했다. 옳은 얘기다. 하지만 이런 다짐이 지켜질지는 미지수다. 당헌당규상 복당 결정권은 이르면 2일 업무를 개시할 혁신비대위원회에 주어져 있기 때문이다. 혁신비대위의 김희옥 위원장은 친박 인사로 분류된다. 게다가 새누리당은 1일부터 “국회의장은 원내 1당 아닌 여당이 맡는 게 관례”란 주장을 내놓기 시작했다.

이런 기류라면 혁신비대위에서 조기 복당이 추진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그럴 경우 야당의 반발을 불러 원 구성 협상이 장기화할 우려가 크다. 이로 인해 20대 국회의 정상 가동이 늦어지면 나라 전체가 큰 피해를 입을 것이다. 20대 국회를 협치 국회로 만들겠다는 약속을 지키려면 여당은 무리한 조기복당 시도부터 접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