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인천시립박물관 70년, 기억의 문을 열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기사 이미지

인천시립박물관이 1일 개관 70주년을 맞았다. 1946년 지자체가 공공 목적으로 세운 첫 박물관이다. [사진 인천시립박물관]

국내 최초의 공립박물관인 인천시립박물관이 1일 개관 70주년을 맞는다.

공립박물관 1호, 오늘 기념식
초대관장 석남 선생 흉상 제막

박물관은 70주년을 맞아 1일 기념식과 함께 초대 관장인 석남 이경성(1919~2009) 선생 흉상 제막식을 한다. 이날 오후 3시30분부터는 박물관과 관련된 추억·인연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토크 콘서트 ‘이야기 한마당’이 열린다. 또 박물관의 역사와 시대별 유물을 전시한 ‘박물관 70년, 기억의 문을 열다’ 특별전시회를 6월 9일까지 한다.

기사 이미지

1946년 4월 개관 당시의 인천시립박물관.

인천시립박물관은 광복 이듬해인 1946년 4월 1일 인천시 중구 송학동 1번지 당시 세창양행 사택 부지에 문을 열었다. 해방 이후 지자체에서 공공 목적으로 세운 첫 박물관이다.

초대 관장으로는 인천 출신의 한국 미술 1세대 평론가인 이경성 선생이 부임했다. 하지만, 전시할 물품이 마땅치 않았다. 박물관은 미 군정청과 지역 문화예술인들의 협조를 얻어 인천향토관에 있던 선사유적과 개화기 유물을 가져왔다. 일제강점기에 개관한 조선총독부박물관이 해방되면서 정식 명칭을 얻지못하고 주춤하던 사이에 빌린 유물과 광복 후 일본인이 가져가지 못해 세관 창고에 쌓여 있던 유물 등 346점을 모아 처음으로 전시했다.

그러나 1950년 6·25 전쟁으로 건물이 소실되는 시련을 겪기도 했다. 당시 이 관장은 박물관 소장품을 포장해 방공호로 옮겨 유실을 막았다. 51년 1·4 후퇴 때는 주요 유물을 부산으로 이동시켜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 유물 상당수를 지킬 수 있었다.

대표적인 유물 중 하나가 중국 송·원·명대 철제 범종이다. 중국 허난성에서 제작·사용된 것인데 2차 대전 당시 일본이 중국에서 강제로 빼돌려 일제 무기공장인 부평 조병창으로 옮긴 것을 간신히 빼내 보관했다.

이후 시립박물관은 1953년 4월 1일 중구 제물포구락부에 다시 문을 열었다가 1990년 5월 1일 옥련동에 현대식 박물관을 짓고 이어져 왔다. 현재는 한국이민사박물관·검단선사박물관·송암미술관·컴팩스마트시티 등 4개 분관을 두고 있다. 소장유물도 개관 당시 346점에서 1만여 점으로 늘어났다. 최근에는 매장문화재를 발굴 조사할 수 있는 기관으로도 공인받았다.

최모란 기자 mor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