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PC방 금연 규정 준수 "10곳 중 1곳 뿐"

중앙일보

입력

2014년부터 PC방이 금연구역으로 지정됐지만 서울 시내 PC방 가운데 관련 규정을 제대로 지키는 곳은 10곳 중 1곳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서울대 보건대학원 이기영 교수팀의 ‘서울특별시 PC방의 실내금연정책 준수 수준’ 보고서에 따르면 교수팀은 지난해 3월 23일부터 5월 11일까지 서울 25개 구에 있는 PC방 202곳을 무작위로 선정해 오후 3시부터 오후 10시까지 방문 조사를 벌였다.

조사 결과 국민건강증진법상 금연 관련 정책을 모두 준수하고 있는 곳은 10.4%에 불과했다. 특히 절반 이상의 PC방에서는 지정된 흡연실 이외의 곳에서 흡연자나 재떨이, 담배꽁초가 발견돼 공공연하게 흡연이 이뤄지고 있었다.

PC방의 경우 출입구, 계단, 화장실 등 시설 내 주요 장소에 금연구역임을 나타내는 안내 표지를 부착해야 한다. 부착한 업소는 92.6%에 달했지만, 부착하지 않은 곳도 7.4%였다. 교수팀은 “금연구역 안내 표지를 부착한 업소의 경우에도 대부분 출입문에만 부착한 경우가 많았고, 이용객이 주로 머무는 컴퓨터 좌석이나 화장실에서는 안내 표지를 찾아보기 힘들었다”고 지적했다. 흡연실 안내 표지도 눈에 띄지 않는 색을 쓰거나 한글표기 없이 영어로만 안내된 곳이 다수였다.

특히 PC방은 시설 전체가 금연이지만 지정된 흡연실 외 공동으로 사용하는 화장실, 복도, 계단, 출입구 등에서 흡연자, 재떨이, 담배꽁초가 발견된 곳은 58.4%(118곳)로 절반이 넘었다. 출입구에 재떨이가 있거나 담배꽁초가 발견된 곳은 각각 23곳, 73곳으로 조사됐다. 컴퓨터를 사용하는 좌석에서 종이컵이나 음료 캔을 재떨이로 두고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도 13곳에서 목격됐다.

흡연실을 설치할 때에는 담배연기가 흡연실 외의 다른 실내공간으로 퍼지지 않도록 밀폐 공간을 조성해야 하지만 이를 지키지 않는 곳도 많았다. 10곳 중 2곳(20.4%)에선 흡연실에 2㎝ 이상의 문틈이 있거나 흡연실 문을 닫지 않은 채로 사용해 담배 연기가 실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컸다. 대다수(96.9%) 흡연실은 환기시설을 갖추고 있었지만 7곳은 담배 연기를 실외로 배출할 환기 장치가 없었다. 이기영 교수는 “실내금연 정책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흡연실 설치에 대한 규정을 제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