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와 70분 통화한 왕이, 발표문엔 ‘단호한 제재’ 뺐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기사 이미지

유지혜 정치부문 기자

8일 자정이 7분이나 넘은 시각. 외교부 당국자가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이 북한의 수소폭탄 실험과 관련해 통화한 내용을 알려왔다.

[현장에서]
윤 장관 ‘대가·결의’ 발언 소개 않고
왕이가 말한 대화 해결 등 4문장뿐
중국 아직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아
한국, 그간 쌓은 외교자산 활용을

 윤 장관은 “국제사회가 이번 핵실험에 대한 단호한 제재 의지를 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강력한 내용의 결의가 신속히 채택되도록 한·중이 협력하자”고 했으며, 왕 부장은 “중국은 일관되게 한반도 비핵화 실현, 한반도 평화와 안정 수호,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이라는 세 가지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 이 세 가지는 연결돼 있고 어느 하나라도 빠져선 안 된다”고 했다는 내용이었다. 통화는 8일 오후 8시쯤 시작돼 70분간 이뤄졌다고 한다. 하지만 외교부가 발표한 건 700여 자 분량이었다. 70분 통화한 내용 중 700여 자를 골라내는 데 3시간이 걸렸다는 얘기다. 그나마도 대북 압박 공조를 원하는 한국과 대화로 문제를 풀자는 중국의 입장은 새로운 게 없었다.

 중국 외교부도 9일 한·중 외교장관의 통화 내용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그런데 분량은 한국 발표의 3분의 1 수준이었고, 내용도 달랐다. 전화통화를 했다는 사실과 함께 왕 부장의 발언만 담은 4문장이 전부였다. 윤 장관이 했다는 “상응하는 대가” “강력한 결의” 등은 단 한 줄도 소개하지 않았다. 또 한국 측이 “양국은 안보리 협의 과정에서 각급에서 긴밀히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도 조만간 개최될 예정”이라고 발표한 내용이 쏙 빠졌다. 통화를 70분 했다는 설명도 없었다.

기사 이미지

윤병세 외교장관(左), 왕이 중국 외교부장(右)

 외교장관 간 통화에 앞서 양국 6자회담 수석대표인 황준국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특별대표도 45분간 통화했다. 하지만 한국과 달리 중국 외교부는 이 사실을 아예 발표도 하지 않았다.

 이처럼 양국 외교부가 같이 통화하고도 발표를 다르게 한 건 북한의 수소폭탄 실험 대응에 대한 온도 차를 가장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자국이 더 강조하고 싶은 내용을 추가로 소개하는 경우는 있지만, 양국 간에 논의를 해놓고선 한쪽 발언만 소개하는 것은 외교 관례에도 맞지 않는다. 북한 4차 핵실험이라는 중대한 국면에서 왜 한·중의 발표는 달라야 했을까. 외교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왕 부장은 윤 장관에게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강한 결의가 나오도록 협력하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북한에 대한 분노도 드러냈다고 한다.

 문제는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말은 소용이 없다는 점이다. 외교장관 간 통화에선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전화하는 방안도 논의했지만 왕 부장은 어떤 확답도 주지 않았다고 한다. 북한 핵실험 이후 한·중 정상이 통화한 전례가 없는데도 이번에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이 북한의 수소폭탄 실험에 대해 한마디 나누지 못한 걸 의아하게 보는 국민이 많은 건 정부가 한·중 관계에 대한 국민의 기대치를 높여놨기 때문이다. ‘최상의 한·중 관계’를 박근혜 정부의 외교 성과로 강조했던 정부는 이제 그 외교 자산을 활용해야 한다.

유지혜 정치부문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