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인터뷰] 대한치매학회 한일우 명예회장 "요양시설에 치매 전담인력 둬 맞춤형 서비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 면

기사 이미지

최근 정부가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을 발표했다.

대한치매학회 한일우(대전시립제1노인전문병원 원장) 명예회장은 “앞서 구축한 치매 환자의 복지 인프라를 치료와 연계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계획 수립단계에서 준비위원단으로 참여한 한 회장에게 치매 환자와 보호자가 알아야 할 점을 물었다.

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의 특징은.
1, 2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은 치매 인식개선, 인프라 구축 등 치매 환자의 복지 분야에 초점을 맞췄다. 여기에 실질적인 치료·관리 부분을 연계하는 게 이번 계획의 골자다. 체계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다.
치매전문병동의 역할은.
치매는 천의 얼굴을 가졌다. 기억력 감퇴, 인지능력 저하뿐 아니라 뇌 손상으로 인한 운동기능 저하, 우울증 등 다양한 문제가 나타난다. 치매전문병동은 치매 환자를 위한 전문 치료시설이다. 치매 환자를 비치매 환자와 분리하고, 문제 증상이 완화되면 의료적인 판단을 거쳐 사회에복귀시킨다. 올 하반기 공립요양병원을 중심으로 운영 모델 보험수가기준을 마련하고, 내년부터 시범사업이 시작된다. 구체적인 사항은 전문가들이 논의 중이다.
사회로 복귀한 후에도 관리가 필요한데.
요양시설과 주·야간 보호센터에 치매 유닛이 설치된다. 전담 인력이 배치돼 치매 환자에게 맞춤형 요양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호자가 병원에서 치매 대응요령이나 복약방법, 돌봄기술 등을 의사와 원활히 상담하도록 건강보험 치매가족 상담수가가 신설된다. 가족이 단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연 6일이내), 요양보호사를 24시간 파견해 집에서 치매 환자를 돌봐주게끔 정책이 마련됐다.
본인이 치매인지 헷갈리는 환자도 많다.
보건소에서 60세 이상이면 무료 치매 선별검사를 받을 수 있다. ‘치매 체크’와 같은 스마트폰 앱도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선 치매정밀검진(신경인지검사)이 필요하다. 1시간30분~2시간 가량 대면 인터뷰로 진행된다. 지금까진 이 비용이 최대 40만원에 달해 환자 부담이 컸다. 올해부터 정밀검진 일부 항목에 건강보험이 지원돼 가격이 낮아진다. 본인 부담금은 기존의 20~60%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치매가 의심된다면 누구나 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조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정부 차원에서 많은 프로그램이 개발됐지만 환자나 보호자가 접할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다. 교육과 홍보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인식 개선에 나서야 한다.?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