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들 “지난주가 마지막인 줄 알았는데 …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기사 이미지

‘제121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가 30일 서울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렸다. 수요시위는 올해 별세한 9명의 피해자 할머니에 대한 추모제 형식으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이 고인이 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사진을 들고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를 요구하고 있다. [오병주 인턴기자]

“이런 무책임한 협상은 우리를 두 번, 세 번 죽이는 일입니다. 283명 위안부 할머니의 한을 풀기 위해 끝까지 싸우겠습니다.”

올해 마지막 수요집회 열려
“사전에 아무 얘기도 듣지 못했다”
협상 결과, 정부 측 태도에 불만
기금 조성 아닌 법적 배상 요구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88) 할머니는 30일 서울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올해 마지막 수요집회(24년간 1211회째)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 28일 타결된 한·일 정부 간 일본군 위안부 관련 합의를 “뻔뻔한 거짓 합의”라고 비판했다.

 이 할머니는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 정부 측으로부터 사전에 아무런 이야기를 듣지 못했다며 서운함을 토로했다. 이 할머니는 “외교부는 ‘공휴일’이 연이어 있어 미리 공지하지 못했다는 어처구니없는 핑계를 대고 있다. 내 나이가 올해로 여든여덟인데 위안부 합의 무효화를 위해 계속 싸우겠다”고 말했다.

 그동안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일본 정부에 위안부 강제 동원이 ‘범죄’라는 것을 인정할 것과 법적 배상, 진상 규명, 위령탑과 사료관 건립 등 일곱 가지를 요구해왔다.

 이날 집회엔 이 할머니 외에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87) 할머니와 각계 시민단체, 일반 시민 등 1000여 명(경찰 추산 700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위안부 합의의 백지화를 촉구했다. 정대협에 따르면 지난주 1210회 수요집회 때만 해도 위안부 할머니들은 이번이 마지막 집회가 되기를 바랐다.

하지만 위안부 할머니들의 입장이 반영되지 않은 이번 합의로 인해 기대가 분노로 바뀌었다고 한다.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는 “할머니들이 대부분 고령인 데다 건강이 악화되고 있다는 핑계를 대며 정부가 굴욕적인 타결안을 가져왔다. 시간이 없다는 걸 알면 최소한 할머니들이 ‘최선을 다했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는 합의를 이뤘어야 하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타결 이후 처음으로 열린 이번 수요집회는 올해 세상을 떠난 9명의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위한 추모제 형식으로 진행됐다. 촛불 점등식과 함께 집회가 시작됐고, 대금연주가 한충은씨가 추모 연주를 하는 동안 300여 명의 학생은 숨진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영정 사진을 일본대사관 방향으로 들어 올리며 시위했다.

 이화여고 학생 이정은(17)양은 “우리들도 끝까지 싸우겠다는 할머니들의 뜻에 동참하고자 한다. 위안부 할머니들을 통해 드러난 아픈 진실을 잊지 않겠다”고 말했다.

 정대협은 앞으로 국내 시민단체 및 국제사회와의 연대를 강화해 일본 정부가 국가적인 차원의 책임을 인정하고 기금 조성이 아닌 법적 배상을 하도록 요구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국 33곳의 ‘평화의 소녀상’을 찾아가 릴레이 수요집회를 열고, 미국·유럽·아시아 지역의 활동가들과 함께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대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목포 등 네 곳에도 소녀상 건립=목포 평화의 소녀상 건립추진위원회는 30일 “목포 독립만세운동 기념일인 내년 4월 8일 시내에 평화의 소녀상을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비용은 민간 단체의 모금활동에 더해 목포시가 2000만원을 지원해 충당할 예정이다. 당진·부산·오산에도 내년에 소녀상이 건립된다. 소녀상 작가 김운성(51)씨에 따르면 현재 평화의 소녀상은 국내 전국 각지에 31개가 있다. 해외에는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과 미시간주 사우스필드, 캐나다의 토론토에 하나씩 있다. 총 34개다.

정진우 기자, 목포=김호 기자 dino87@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